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역사

세상을 뒤흔든 최악의 보안 취약점, Log4j 사태

by 희품 2025. 10. 13.
반응형

세상을 뒤흔든 최악의 보안 취약점, Log4j 사태 썸네일 이미지

2021년 12월, 전 세계 IT 업계는 그야말로 대혼란에 빠졌다. 단 한 줄의 코드로 서버를 장악할 수 있는 역대급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름하여 'Log4Shell'. 이 취약점의 중심에는 바로 'Log4j'라는 아주 평범해 보이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평범한 로깅 라이브러리가 어떻게 전 세계를 위협하는 디지털 팬데믹의 진원지가 되었는지, 그 전말을 자세히 파헤쳐 보자.

 

Log4j란?

데이터 센터에서 보안 취약성 Log4J가 검색. 3d 그림

먼저 Log4j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Log4j는 자바(Jav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Log)를 남기기 위해 사용되는 아주 유명하고 널리 쓰이는 라이브러리이다. 개발자들은 프로그램을 만들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속 기록, 프로그램의 작동 상태, 오류 발생 여부 등을 기록으로 남기는데, 이것을 '로깅(Logging)'이라고 한다. Log4j는 바로 이 로깅 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수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별다른 의심 없이 수십 년간 사용해 온, 그야말로 자바 생태계의 필수 요소와도 같은 존재였다.

 

 

세상을 뒤흔든 Log4j의 취약점(CVE-2021-44228)

사이버 보안 취약성 Log4J 컨셉과 디지털 결함 영향을 가진 후드된 컴퓨터 해커

문제는 이토록 널리 쓰이던 Log4j 2 버전에서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Remote Code Execution, RCE) 취약점이 발견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취약점에는 'Log4Shell(로그포셸)'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렇다면 Log4Shell은 어떻게 동작하는 것일까? 공격자는 특정 문자열을 서버에 로그로 남도록 전송한다. Log4j는 이 문자열을 로그로 기록하는 과정에서 특정 구문(${jndi:ldap://...})을 만나면, 단순히 텍스트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라는 기능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그곳에 있는 코드를 내려받아 실행해 버린다. 즉, 공격자가 악의적인 코드를 심어둔 서버의 주소를 로그로 남기기만 하면, 해당 서버는 그 코드를 그대로 실행하여 공격자에게 모든 제어 권한을 넘겨주게 되는 것이다. 비밀번호도, 방화벽도 무력화시키는 무서운 취약점이다.

 

Log4j의 취약점은 왜 심각하게 여겨졌을까?

Log4Shell이 역대 최악의 취약점 중 하나로 꼽히는 이유를 살펴보자.

보안 취약성 Log4J가 검색. 3d 그림

  • 압도적인 사용 범위: Log4j는 전 세계 거의 모든 자바 기반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수많은 웹사이트, 게임, 클라우드 서비스 등이 모두 잠재적인 공격 대상이었던 것이다.
  • 손쉬운 공격 방법: 공격 방법이 너무나 간단했다. 전문적인 해킹 기술 없이도 단순히 특정 문자열을 채팅창에 입력하거나, 사용자 이름으로 설정하는 등의 간단한 행위만으로도 서버를 공격할 수 있었다.
  • 치명적인 원격 코드 실행: 일단 공격에 성공하면 서버의 모든 권한을 탈취할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서버를 랜섬웨어에 감염시키거나, 가상화폐 채굴에 동원하거나, 다른 시스템을 공격하는 좀비 PC로 만드는 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악성 행위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Log4j 취약점을 통한 교훈

PC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Apache 웹사이트 홈페이지, url - Apache.org.

Log4Shell 사태는 우리에게 끝나지 않은 사이버 전쟁의 현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위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한 보안 업데이트이다. Log4j 개발팀인 아파치(Apache) 재단은 취약점이 발견된 직후 곧바로 보안 패치를 내놓았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와 개발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Log4j 버전을 시급히 확인하고, 즉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만약 당장 업데이트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임시방편으로 취약점을 유발하는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메인보드 컨셉의 잠금 키 - 백그라운드에서 Log4j 취약점 표시

또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보안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수많은 오픈소스에는 또 다른 잠재적 위협이 숨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를 도입하기 전 충분한 검증을 거치고, 지속적인 보안 모니터링과 함께 소프트웨어 공급망 전체의 보안을 강화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Log4j 사태는 끝났지만, 제2의 Log4j는 언제든 다시 나타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Log4j #Log4Shell #로그포제이 #보안취약점 #사이버보안 #자바 #개발자 #IT보안 #서버보안 #R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