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란? 도메인 이름 서비스, 인터넷의 전화번호부를 이해하자
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DNS라는 시스템이 없었다면, 네이버나 구글에 접속하는 일조차 어려웠을 것이다.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은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눈에 보이지 않게 작동하며, 인터넷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인프라 중 하나다.DNS의 기본 개념부터 동작 원리, 구성 요소, 보안 문제까지 이 글을 통해 이해한다면,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DNS가 무엇인지에 대해 누군가에게 설명도 쉽게 해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DNS란?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이다.사람은 'naver.com' 같은 도메인 이름을 기억하기 쉽지만, 컴퓨터는 숫자로 된 IP 주소(예: 2x3.1x0.20..
2025. 4. 24.
중간자 공격이란? 우리 대화를 지켜보는 나쁜 눈이 있다?
인터넷에서 개인정보를 주고받는 시대, 우리는 종종 '안전한 통신'을 당연하게 여긴다.하지만, 그 안에서 누군가가 우리의 대화를 몰래 엿듣고, 조작하고 있다면 어떨까?소름 돋는 일이지만,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다.이러한 일을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MITM)이라고 한다.그들은 당신의 대화 속에 숨어 있다. 중간자 공격이란?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MITM)이란, 통신을 주고받는 두 사람, 혹은 두 기기 사이에 제삼자가 몰래 끼어들어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변조하는 공격 기법을 의미한다.당사자 A와 B는 서로 직접 통신하고 있다. 이들은 당연히, A와 B 둘이서만 통신한다고 믿고 있다.실제로는 공격자 M이 중간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로채고, 필요..
2025. 4. 20.
TLS란? 인터넷 보안을 책임지는 SSL의 다음 세대
20여 년 전, 2000년대 초반. PC가 보급되고, 온라인 게임 시장이 활발하던 시기.해킹사건이 굉장히 많았다.생각해 보면 그때는, 지금의 필수인 https:// 가, 당연한 것이 아닌, 신뢰의 상징이 아니었나 싶을 정도로,http:// 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일반인들이 여기저기서 비밀번호를 해킹당하지 않았을까 싶다.예전에는 학습 진입 장벽이 어려웠을 뿐이지, 기본 원리만 이해하면 해킹이 무척 쉬웠을 것이다.해커를 비롯한 보안 종사자들은,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 머리가 아파지겠다. TLS란?TLS(Transport Layer Security)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다. 이전에는 SSL(Secure Sockets Layer)이라는 명칭이 더 익숙했지만..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