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나 앱을 사용할 때마다 매번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은 귀찮고 번거롭다.
때로는 너무 많은 계정 정보를 기억하는 것도 어렵다.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기술이 싱글 사인온(SSO, Single Sign-On)이다.
SSO가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도입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보자.
SSO는 사용자가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서비스나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인증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한 서비스에 로그인하면 해당 계정을 통해 연결된 다른 서비스에서도 추가 로그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대표적으로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 등의 소셜 계정 연동이 이에 해당한다.
SSO는 어떻게 하나의 계정으로 서로 관련이 없는 서비스 로그인을 할 수 있을까?
- 사용자가 처음 접속하는 서비스에서 SSO를 선택한다.
- 사용자가 SSO 제공자(Identity Provider, IDP)에 로그인한다.
- IDP는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고,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에 전달한다.
- 서비스 제공자는 받은 인증 정보로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인증 정보는 보안 토큰의 형태로 전달되어 안전한 방식으로 관리된다.
즉, 서비스는 구글과 같은 SSO 제공자를 신뢰한다는 것에 바탕이 되어야 한다.
SSO를 도입하면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다.
- 사용자 편의성 증가: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로그인하지 않아도 돼 간편하다.
- 보안 강화: 여러 개의 계정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안 위협을 줄일 수 있다.
- 관리 비용 감소: 계정 관리나 비밀번호 재설정 등과 같은 관리 업무가 줄어든다.
- 생산성 향상: 로그인에 소모되는 시간이 줄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도 다양하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SSO의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도입 시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 의존성 위험: IDP에 문제가 생기면 연결된 모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보안 관리: IDP가 보안 침해를 당할 경우 연결된 모든 계정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 서비스 연속성 관리: 서비스 간 통합이 복잡할 수 있어 초기 구축 시 철저한 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SSO를 도입할 때는 충분한 보안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SSO를 통해 인증을 하더라도 연동된 계정을 관리하여 보안 관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SSO를 도입했으면서도 불편을 감수하면서 회원가입을 별도로 하는 다양한 플랫폼은,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SSO는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사용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편의성과 보안성 향상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다만, 올바르게 구현하고 적절한 보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으로 SSO 기술은 더 많은 서비스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해시태그 #싱글사인온 #SSO #보안 #계정관리 #인증기술 #디지털보안 #IT기술 #사용자편의성 #보안관리 #서비스연속성
'IT 정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nC란? 오프라인 유통의 혁신, Pick and Collect 시스템의 이해 (1) | 2025.07.10 |
---|---|
VPN이란? 인터넷을 더 안전하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법 (1) | 2025.07.09 |
GDPR이란? 유럽 개인정보 보호의 기준, 글로벌 디지털 시대의 법적 핵심 (1) | 2025.07.07 |
RFID란? 보이지 않는 정보를 읽는 무선 인식 기술의 핵심 (0) | 2025.07.06 |
랜섬웨어란? 데이터를 인질로 잡는 사이버 협박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