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배드래빗(Bad Rabbit) 랜섬웨어, 그것이 알고 싶다, 정체와 예방법 분석

by 희품 2025. 9. 27.
반응형

배드래빗(Bad Rabbit) 랜섬웨어, 그것이 알고 싶다, 정체와 예방법 분석 썸네일 이미지

2017년, 동유럽을 중심으로 수많은 기업과 기관의 컴퓨터가 일순간 마비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평범한 뉴스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뿐인데, 갑자기 나타난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업데이트 창. 무심코 '업데이트' 버튼을 누른 순간, 컴퓨터의 모든 파일은 암호화되고 화면에는 섬뜩한 랜섬머니 요구 메시지가 나타났다. 이 모든 혼란의 중심에는 '배드래빗(Bad Rabbit)'이라 불리는 악성 랜섬웨어가 있었다.

이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교묘한 사이버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이다.

 

배드래빗 랜섬웨어란?

배드래빗 랜섬웨어의 벡터 일러스트레이션

배드래빗은 사용자 컴퓨터의 파일을 암호화하여 사용 불가능하게 만든 뒤, 이를 복구하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의 일종이다. 특히 2017년 10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져나갔으며, 언론사, 교통 시설 등 사회 기반 시설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삼아 큰 피해를 입혔다. 기술적으로는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페트야(Petya)' 랜섬웨어와 상당 부분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해커 그룹의 소행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단순 파일 암호화를 넘어 시스템의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까지 변조하여 부팅 자체를 막아버리는 등 매우 파괴적인 특징을 보인다.

 

 

 

교묘하고 집요한 감염경로

배드래빗이 어떻게 수많은 컴퓨터를 감염시킬 수 있었는지 그 경로를 살펴보자.

Adobe Flash Player 소프트웨어 앱 로고 아이콘 기호, 구식 기술, 구식 플래시 게임 및 애니메이션 개념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디스플레이 클로징

  • 가짜 플래시 플레이어 업데이트: 공격자는 사용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언론사나 미디어 관련 웹사이트를 해킹하여 악성 스크립트를 심어 놓는다. 사용자가 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Adobe Flash Player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라는 내용의 팝업창이 나타난다. 만약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랜섬웨어 설치 파일이 실행되어 즉시 감염이 시작된다. 이는 사용자의 신뢰를 악용하는 매우 고전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사회 공학적 기법이다.
  • 내부 네트워크 전파 (SMB 프로토콜 악용): 배드래빗이 더욱 위험한 이유는 한 대의 컴퓨터가 감염되면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로 스스로를 전파시키는 '웜(Worm)'의 특징을 가졌다는 점이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파일 공유 프로토콜인 SMB(Server Message Block)의 취약점을 이용하고, '미미카츠(Mimikatz)'라는 해킹 도구를 통해 감염된 PC에서 관리자 계정 정보를 탈취하여 네트워크 내 다른 PC로 순식간에 확산된다. 이 때문에 기업이나 기관 환경에서 훨씬 더 큰 피해를 야기했다.

 

 

 

감염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배드래빗 랜섬웨어에 감염된 컴퓨터는 돌이킬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구체적인 공격 단계를 알아보자.

흉기 공격컴퓨터 기술 및 사이버 보안 개념

  1. 파일 암호화: 먼저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 사진, 동영상 등 특정 확장자를 가진 중요 파일들을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잠가버린다.
  2. MBR 변조 및 시스템 재부팅: 파일 암호화가 끝나면, 컴퓨터의 부팅 영역인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를 변조하고 시스템을 강제로 재부팅시킨다.
  3. 랜섬 노트 출력: 재부팅 후에는 정상적인 윈도우 화면 대신, 검은 화면에 '파일을 되찾고 싶으면 비트코인을 지불하라'는 내용의 랜섬 노트가 나타난다. 정해진 시간 내에 돈을 보내지 않으면 파일 복구가 영원히 불가능해진다는 협박도 함께 포함된다.

 

배드래빗으로부터 내 PC를 지키는 방법

이러한 치명적인 랜섬웨어 공격은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배드래빗을 포함한 다양한 랜섬웨어 위협으로부터 우리의 소중한 데이터를 지키기 위한 핵심적인 보안 수칙은 무엇일까?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백업 전략 디지털 환경 개념적 시각화 보안 데이터 관리 기술 개요

  • 데이터 정기 백업: 가장 중요하고 확실한 예방법이다. 중요한 파일은 외장 하드나 클라우드 등 별도의 저장 공간에 주기적으로 백업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랜섬웨어에 감염되더라도 백업된 파일이 있다면 시스템을 포맷하고 깨끗하게 복구할 수 있다.
  • 신뢰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 설치 금지: 웹사이트에서 뜨는 팝업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절대 신뢰해서는 안 된다. 모든 프로그램은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 직접 방문하여 다운로드해야 한다.
  •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최신 버전 유지: 윈도우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사용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보안 패치를 적용해야 한다. 이는 랜섬웨어가 악용하는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 신뢰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 사용: 실시간 감시 기능이 활성화된 최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시스템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 SMB 포트 차단 및 암호 관리: 기업 환경에서는 불필요한 SMBv1 프로토콜을 비활성화하고, 공유 폴더에 대한 접근 제어와 강력한 관리자 계정 암호 설정 및 주기적인 변경이 필수적이다.

BAD RABBIT, 전 세계 사이버를 겨냥한 새로운 랜섬웨어 공격.

결론적으로, 배드래빗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사소한 부주의를 틈타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강력한 사이버 위협이다. 화려한 해킹 기술이 아니라 가장 기본적인 보안 의식을 파고든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언제나 의심하고, 확인하고, 백업하는 보안 습관을 통해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배드래빗 #BadRabbit #랜섬웨어 #사이버보안 #정보보안 #악성코드 #컴퓨터보안 #워너크라이 #페트야 #데이터백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