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연결된 데이터를 자유롭게 여행하는 법, SPARQL 쿼리 언어

by 희품 2025. 9. 10.
반응형

연결된 데이터를 자유롭게 여행하는 법, SPARQL 쿼리 언어 썸네일 이미지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데이터는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우리는 흔히 링크를 통해 웹 페이지를 이동하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까지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만약 '서울'이라는 단어가 단순히 텍스트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수도'라는 개념과 연결되고, '대한민국'은 '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라는 정보와 연결된다면 어떨까?

이처럼 데이터가 의미적으로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를 '시맨틱 웹(Semantic Web)' 또는 '웹 오브 데이터(Web of Data)'라고 부른다. 그리고 바로 이 거대한 의미의 그물망에서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열쇠가 바로 SPARQL이다.

 

SPARQL이란?

빅데이터: 로봇과 인간의 손이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에 미치는 영향 배경,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 통찰력 및 자동화.

SPARQL(SPARQL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은 '스파클'이라고 읽으며, 그 이름처럼 데이터 속에서 반짝이는 통찰력을 찾아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SPARQL은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형식으로 표현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작하기 위한 표준 질의 언어이다. 쉽게 비유하자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SQL을 사용하는 것처럼, 시맨틱 웹 환경의 RDF 데이터에서는 SPARQL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시맨틱 웹의 SQL'이라고 이해하면 가장 정확하다. RDF 데이터는 모든 정보를 '주어-서술어-목적어(Subject-Predicate-Object)'의 트리플(Triple) 형태로 표현하는데, SPARQL은 이러한 트리플 패턴을 기반으로 복잡하게 얽힌 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관계와 정보를 찾아내는 강력한 도구이다.

 

 

왜 SQL이 아니라 SPARQL을 사용할까?

데이터 분석,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확장 가능한 스토리지, 클라우드 통합 및 기업용 수준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SQL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는 정해진 스키마(Schema), 즉 잘 짜인 표 구조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SQL은 이처럼 정형화된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하지만 웹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비정형적이며, 여러 출처에 분산되어 있다. SPARQL은 바로 이러한 분산된 환경과 유연한 데이터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되지 않고, 웹에 공개된 여러 RDF 데이터 저장소(Endpoint)를 넘나들며 한 번에 질의를 던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이다. 이는 데이터의 '소유'가 아닌 '연결'과 '개방'을 지향하는 시맨틱 웹의 철학과 맞닿아 있다.

 

SPARQL 쿼리의 기본 구조

SPARQL 쿼리는 SQL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데이터베이스에 익숙한 개발자라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 SPARQL 쿼리를 구성하는 주요 핵심 요소를 살펴보자.

SPRAQL 쿼리의 기본구조를 나타내는 추상적인 이미지

  • PREFIX: 긴 URI 주소를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두사이다.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SELECT: 질의 결과로 반환받고 싶은 변수를 지정한다. SELECT *를 사용하면 조건에 맞는 모든 변수를 가져온다.
  • WHERE: 쿼리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찾고자 하는 데이터의 패턴을 트리플 형태로 기술한다. 변수는 ? 또는 $ 기호를 붙여 표시하며, 이 변수에 매칭되는 값을 찾아낸다.
  • FILTER: WHERE 절에서 찾은 결과에 대해 특정 조건을 적용하여 결과를 필터링한다. 숫자 비교, 문자열 처리 등 다양한 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 ORDER BY: 결과를 특정 변수 기준으로 정렬한다.
  • LIMIT / OFFSET: 반환되는 결과의 수를 제한하거나 시작 위치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대한민국의 수도는 어디이며, 그 수도의 인구는 얼마인가?"와 같은 복잡한 질문을 데이터에 던질 수 있다.

 

SPARQL의 활용

Wikipedia 웹 사이트 앞에 화면에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 로고가 있는 휴대폰을 들고 있는 사람. 전화 디스플레이에 초점 수정되지 않은 사진

SPARQL은 단순히 학술적인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입증하고 있다. 위키피디아의 데이터를 구조화한 DBpedia, 구글이 운영하는 지식 그래프인 위키데이터(Wikidata) 등 대규모 링크드 오픈 데이터(LOD) 프로젝트에서 SPARQL 엔드포인트를 제공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데이터를 질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기업 내부에서는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하여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챗봇이나 추천 시스템의 기반 기술로 활용하기도 한다.


 

추상 빅 데이터 시각화. 빅 데이터 코드 표현. 미래형 네트워크 또는 비즈니스 분석. 디자인에 대한 그래픽 개념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인공지능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추론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SPARQL은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핵심 기술이며, 데이터를 지식으로, 지식을 지능으로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SPARQL #RDF #시맨틱웹 #링크드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쿼리언어 #지식그래프 #빅데이터 #프로그래밍 #데이터과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