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CDR(Common Data Representation)이란? CORBA의 심장이었던 데이터 표준

by 희품 2025. 8. 27.
반응형

CDR(Common Data Representation)이란? CORBA의 심장이었던 데이터 표준 썸네일 이미지

서로 다른 악기를 가진 연주자들이 모여 아름다운 하모니를 만드는 오케스트라를 상상해 보자.
이들이 조화로운 연주를 하려면 반드시 '악보'라는 공통의 약속이 필요하다. 컴퓨터의 세계도 마찬가지이다. 인텔 CPU를 쓰는 윈도우 PC와 ARM CPU를 쓰는 리눅스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이들만의 '공통 악보'가 필요하다. 분산 컴퓨팅의 역사에서 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표준 중 하나가 바로 CDR(Common Data Representation)이다.

 

CDR(Common Data Representation)이란?

HR, 인력 분석 개념 HR 환경을 변화시켜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공을 달성. 데이터 중심의 목표를 바탕으로 업무 프로세스, 기능, 과제 및 영업 기회에 중점.

CDR은 'Common Data Representation'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공통 데이터 표현 방식'이라고 한다. 이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라는 분산 객체 기술 표준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데이터 인코딩 규칙이다. 그 목적은 명확하다.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체제, 하드웨어 아키텍처(CPU 종류 등)가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데이터가 깨지거나 잘못 해석되는 문제없이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왜 공통된 표현 방식이 필요할까?

컴퓨터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점에서 모든 문제가 시작된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엔디안(Endian)이다.

데이터 스트림, 3d 그림

  • 바이트 순서 (Endianness): 리틀 엔디안을 사용하는 인텔 CPU와 빅 엔디안을 사용하는 구형 서버 CPU는 같은 숫자라도 메모리에 저장하는 바이트 순서가 정반대이다. 이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면 전혀 다른 값으로 해석된다.
  • 데이터 타입 크기: C언어에서 long 타입의 크기는 32비트 시스템에서는 4바이트이지만, 64비트 시스템에서는 8바이트일 수 있다. 이처럼 프로그래밍 언어나 컴파일러에 따라 데이터 타입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 데이터 정렬 (Alignment): CPU는 특정 크기의 배수 주소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이 때문에 컴파일러는 데이터 구조체 내에 눈에 보이지 않는 '패딩(Padding)' 바이트를 추가하여 데이터의 시작 주소를 조정하는데, 이 규칙 또한 시스템마다 다르다.

CDR은 바로 이러한 차이점들을 극복하고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단일한 데이터 표현 방식을 정의하기 위해 탄생했다.

 

 

CDR의 핵심 원칙은?

CDR은 데이터 교환 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막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확한 규칙들을 정의한다.

사업가들은 휴대폰을 최첨단 3D 형식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고 세계 디지털 마케팅을 할 수 있음. 디지털 링크 기술과 빅 데이터

  • 바이트 순서 정의: CDR은 모든 정수 및 부동소수점 데이터에 대해 빅 엔디안(Big-Endian) 또는 리틀 엔디안(Little-Endian)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 스트림에 명시한다. 수신 측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바이트 순서를 올바르게 해석한다.
  • 기본 데이터 타입 표준화: short(2바이트), long(4바이트), double(8바이트) 등 기본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명확하게 고정한다.
  • 데이터 정렬 규칙: 구조체와 같은 복합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렬 규칙을 명시하여,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동일한 메모리 레이아웃을 가정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규칙들 덕분에, CORBA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복잡한 하드웨어의 차이를 신경 쓸 필요 없이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노트북, 클라우드 서비스 홀로그램 아이콘, 파일 공유 또는 전송을 사용 하는 블랙 여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 백업, 바이너리 및 디바이스 동기화 개념

결론적으로 CDR은 현대적인 REST API나 gRPC 같은 기술에 가려져 지금은 자주 언급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이 어떻게 '하나의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을 제시했던 중요한 기술이다. 이기종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이라는 거대한 과제를 해결하려 했던 CDR의 철학은 오늘날의 기술에도 그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CDR #CommonDataRepresentation #CORBA #분산컴퓨팅 #데이터인코딩 #엔디안 #직렬화 #IT #개발자 #네트워크프로그래밍 #IIO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