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개발(Development) 팀과 운영(Operations) 팀이 별도로 존재하며,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과정에서 협업의 단절이 자주 발생하곤 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접근 방식이 바로 DevOps이다.
DevOps는 단순한 도구나 기술을 넘어, 문화적 변화와 자동화 중심의 개발/운영 통합 전략이라 할 수 있다.
DevOps의 정의, 핵심 원칙, 주요 도구, 도입 효과 등을 자세히 살펴보자.
DevOps는 Development(개발)와 Operations(운영)의 합성어로, 두 영역의 협업을 강화하여 소프트웨어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개발하고 배포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자동화, 지속적 통합(CI), 지속적 배포(CD), 모니터링, 협업 문화 등이 핵심이다.
DevOps는 단일팀이 전체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개발, 테스트, 배포, 운영)을 책임지는 구조를 지향하며, 배포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향상하는 것이 목표다.
전통적인 개발 방식에서는 문제점이 있었다.
- 개발자는 기능을 완성해도 운영 환경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운영팀은 안정성을 이유로 배포를 지연시킴
- 개발과 운영 간 소통 단절로 인해 문제 해결이 늦어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자일 방법론과 자동화 기술이 결합되면서 DevOps가 등장하였다.
즉, DevOps는 기술뿐 아니라 조직 구조와 문화 변화까지 포함된 포괄적 개념이다.
DevOps에는 원칙이 있다. 이 원칙들이 지켜줘야 DevOps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자동화(Automation) : 테스트, 빌드, 배포, 모니터링 등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반복 작업을 줄이고 일관성을 확보한다.
- 지속적 통합과 배포(CI/CD) : 코드 변경을 빠르게 통합하고, 운영 환경에 신속하게 반영한다.
- 모니터링과 피드백 반복 : 운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문제를 빠르게 피드백하여 개선한다.
-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 부서 간 벽을 허물고, 하나의 목표를 향해 공동 작업하는 문화를 지향한다.
DevOps는 다음과 같은 단계별 도구를 활용해 자동화를 구현한다:
- 버전 관리: Git, GitHub, GitLab
- CI/CD: Jenkins, GitHub Actions, GitLab CI, CircleCI
- 구성 관리: Ansible, Chef, Puppet
- 컨테이너/오케스트레이션: Docker, Kubernetes
- 모니터링/로깅: Prometheus, Grafana, ELK Stack, Datadog
즉, DevOps는 단순히 DevOps 플랫폼이 있다기보다, 여러 가지 관리 도구와 플랫폼을 종합해 DevOps를 구축한다고 볼 수 있다.
DevOps를 도입하면, 협업과 다양한 개발, 운영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 배포 속도 향상: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빠른 릴리즈 가능
- 운영 안정성 증가: 반복 가능한 배포로 장애 가능성 감소
- 문제 대응력 강화: 모니터링과 롤백 기능을 통해 빠른 복구 가능
- 개발자 만족도 향상: 협업 효율성과 피드백 속도 증가
DevOps와 CI/CD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CI/CD는 DevOps의 핵심 실행 수단이며, 이를 통해 DevOps의 목표인 빠르고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제공이 가능해진다. 즉, CI/CD는 DevOps 문화의 기술적 구현이며, DevOps는 CI/CD를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
DevOps는 개발과 운영의 경계를 허물고, 팀 전체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전략이다. 기술 도입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협업 문화의 정착이며, DevOps는 이를 자동화와 피드백 중심으로 체계화한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IT 환경에서 DevOps는 필수가 되어가고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하는 조직이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DevOps #CI/CD #지속적통합 #지속적배포 #DevOps도구 #소프트웨어개발문화 #자동화배포 #애자일 #협업문화 #소프트웨어전략
'IT 정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폴 모델이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의 이해 (0) | 2025.06.16 |
---|---|
애자일 방법론이란? 유연하고 협력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전략 (0) | 2025.06.15 |
CI-CD 파이프라인이란? 자동화로 완성하는 현대 개발의 핵심 (0) | 2025.06.13 |
해시(Hash)란? 데이터 보안과 효율을 위한 핵심 알고리즘 이해하기 (6) | 2025.06.12 |
패리티(Parity)란? 오류 검출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 이해하기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