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DSL이란? 이미 매일 전문가처럼 쓰고 있는 도메인 특화 언어?

by 희품 2025. 11. 15.
반응형

DSL이란? 이미 매일 전문가처럼 쓰고 있는 도메인 특화 언어? 썸네일 이미지

집을 짓는 목수라고 상상해 보자. 못을 박고, 나무를 자르고, 나사를 조이는 모든 작업을 하나의 '만능 맥가이버 칼'로만 해결해야 한다면 어떨까? 가능은 하겠지만, 망치와 톱, 전동 드릴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비효율적일 것이다. 프로그래밍의 세계도 이와 같다.

우리는 흔히 Python, Java, C++처럼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General-Purpose Language, GPL)에 익숙하다. 하지만 특정 목적을 위해서는 그에 맞는 특수한 도구, 즉 '특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압도적으로 효율적이다. 이것이 바로 오늘 이야기할 도메인 특화 언어, DSL(Domain-Specific Language)의 핵심이다.

 

도메인 특화 언어(DSL)은 무엇일까?

DSL, 즉 'Domain-Specific Language'는 단어 그대로 '특정 도메인(영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 언어이다.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C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요청할 때 Java로 복잡한 코드를 짜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각 분야에 최적화된 언어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전환, 비즈니스 비용 최적화, 운영 비용 절감, 재정 절감,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자원 효율성 전략을 통해 비용 절감 및 비용 절감 첨탑. 최적화

놀랍게도 많은 사람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매일 DSL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대표적인 DSL의 예시를 살펴보자.

  •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 추가, 수정, 삭제하는 작업에 특화된 언어이다. SELECT name FROM users WHERE age > 20과 같은 문장은 다른 어떤 범용 언어보다 직관적이고 간결하다.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의 뼈대와 구조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목, 문단, 이미지, 링크 등을 배치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 CSS (Cascading Style Sheets): HTML로 만들어진 웹 페이지의 디자인(색상, 글꼴, 레이아웃 등)을 꾸미는 데 특화된 언어이다.

이처럼 DSL은 특정 목적을 위해 문법과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만, 바로 그 제한 덕분에 해당 분야에서는 최고의 생산성과 가독성을 자랑한다.

 

우리가 DSL을 사용하는 이유는?

범용 언어(GPL)가 있는데도 굳이 특정 분야에만 사용 가능한 DSL을 만들어 쓰는 이유는 뭘까?

바로 '효율성' 때문이다. DSL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점들은 무엇이 있을까?

AI 에이전트를 사용 하 여 비즈니스 운영 및 생산성을 위한 인공 지능, 자동화, 스마트 기술을 대표하는 가상 스크린과 명령 인터페이스 사업가. AI 에이전트 분석

  • 압도적인 생산성: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코드의 양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SQL 쿼리 한 줄은 JDBC를 사용한 Java 코드 수십 줄을 대체할 수 있다. 이는 곧 개발 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 높은 가독성과 쉬운 소통: DSL은 해당 분야의 용어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아, 프로그래머가 아닌 도메인 전문가(기획자, 데이터 분석가 등)도 코드를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해를 줄이고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 오류 발생 가능성 감소: 언어 자체의 문법이 특정 작업에 맞춰져 있어, 범용 언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오류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예를 들어, CSS에서는 변수 타입을 잘못 지정하는 실수를 할 수가 없다.
  • 유지보수의 용이성: 코드가 간결하고 목적이 명확하기 때문에, 나중에 코드를 수정하거나 기능을 추가하는 유지보수 과정이 훨씬 수월하다.

 

Internal DSL VS External DSL

DSL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바로 내부(Internal) DSL과 외부(External) DSL이다.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html 및 css 코드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프로그래밍 3D 렌더링.

외부 DSL은 SQL, HTML, CSS처럼 완전히 독립적인 문법을 가진 언어를 말한다. 이 언어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파서(Parser)나 컴파일러가 필요하다.

 

반면, 내부 DSL은 Java, Ruby, Kotlin과 같은 기존의 범용 언어(호스트 언어)의 문법을 활용하여 만들어진다. 특정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가 마치 새로운 언어처럼 보이도록 설계된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빌드 자동화 도구인 Gradle이나 일부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세상을 움직이는 또 다른 언어, DSL

SQL 및 데이터 저장소는 구조적 쿼리 언어 코드에 저장

DSL은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만들고, 전문가들이 자신의 언어로 시스템과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다리이다. 비록 하나의 DSL이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않지만, '적재적소에 맞는 도구를 사용하는 지혜'가 왜 중요한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코드 종속성 아이콘 세트

개발자라면, 자신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가 어떤 내부 DSL을 제공하는지 살펴보자. 만약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우리가 얼마나 많은 특수 언어의 도움을 받으며 디지털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지 깨닫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DSL #도메인특화언어 #프로그래밍 #개발자 #SQL #HTML #CSS #개발꿀팁 #생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