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Maven이란? JAVA 프로젝트 관리 핵심 똑똑하게 의존성 관리하기

by 희품 2025. 11. 12.
반응형

Maven이란? JAVA 프로젝트 관리 핵심 똑똑하게 의존성 관리하기 썸네일 이미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수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관리하는 것은 더 이상 간단한 일이 아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 외에도 프로젝트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수많은 부가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때, 마치 잘 짜인 교향곡의 지휘자처럼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구성과 빌드 과정을 조율하는 도구가 있다면 어떨까? 바로 'Maven'이 그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다.

 

Maven이란?

태블릿에 표시된 Java 로고 확대 사진. Java는 널리 사용되는 클래스 기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한 남자가 무선 스타일러스 펜을 들고 있음.

메이븐(Maven)은 자바 프로젝트의 빌드(Build)를 자동화하고,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해 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여기서 '빌드'란, 우리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파일(예: JAR, WAR)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컴파일, 테스트, 패키징 등 빌드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Maven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해 준다. 또한, 프로젝트에 필요한 외부 라이브러리(의존성)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관리해 주는 기능은 Maven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Maven의 핵심 파일 - POM.xml

Maven의 모든 동작은 'POM(Project Object Model)'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POM은 'pom.xml'이라는 파일에 프로젝트의 모든 설정 정보를 XML 형식으로 정의한 것이다. 이 파일 하나에 프로젝트의 이름, 버전, 필요한 라이브러리 목록 등 모든 정보가 담겨있다. 개발자는 pom.xml 파일만 보면 해당 프로젝트의 구조와 의존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pom.xml의 예시

pom.xml에 들어가는 주요 설정 항목들은 무엇이 있을까?

  • groupId: 프로젝트를 만든 조직이나 그룹의 고유한 ID이다. 보통 도메인 이름을 역순으로 사용한다. (예: com.google)
  • artifactId: 프로젝트의 고유한 이름이다. (예: my-project)
  • version: 프로젝트의 버전 정보이다. (예: 1.0.0)
  • packaging: 프로젝트를 어떤 형태로 패키징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 jar, war)
  • dependencies: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들의 목록이다. 각 라이브러리의 groupId, artifactId, version을 명시하면 Maven이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프로젝트에 추가해 준다.

 

Maven의 생명주기와 단계

Maven은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전체 과정을 '생명주기(Lifecycle)'라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대표적인 생명주기에는 default, clean, site가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default 생명주기는 여러 단계(Phas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정해진 순서대로 실행된다. 주요 단계를 살펴보자.

개발, 프로그래밍 및 코딩 기술 개념. 프로그래머는 수동으로 프로그램 코드를 사용.

  • compile: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는 단계이다.
  • test: 컴파일된 코드를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 package: 테스트를 통과한 코드를 'jar'나 'war'와 같은 파일로 패키징 하는 단계이다.
  • install: 패키징 된 파일을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에 설치하여 다른 프로젝트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 deploy: 완성된 파일을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에 배포하여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하는 단계이다.

우리가 터미널에서 mvn install이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Maven은 compile, test, package 단계를 순서대로 모두 실행한 후 install 단계를 수행한다. 이처럼 정해진 생명주기 덕분에 개발자는 일관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관리할 수 있다.

 

왜 Maven을 사용할까?

Gantt 차트 일정을 사용하여 작업 및 산출물을 계획하는 프로젝트 관리자 계획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활동 스케줄링 디지털 태블릿 컴퓨터 화면의 프로젝트 관리 다이어그램

Maven을 사용하면 개발자는 수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가 매우 편리해진다.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있다면 pom.xml에 몇 줄만 추가하면 그만이다. 버전 충돌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모든 팀원이 동일한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개발 환경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빌드 프로세스는 새로운 팀원이 프로젝트에 합류했을 때 적응 기간을 단축시켜 준다. Maven의 구조만 이해하면 어떤 프로젝트든 쉽게 빌드하고 테스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Maven은 단순한 빌드 도구를 넘어, 프로젝트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필수적인 관리 도구이다. 현대적인 자바 개발 환경에서 Maven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은 개발자에게 매우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세련된 사무실에서 모니터 2대와 노트북 1대를 옆에 두고 데스크탑 PC에 코드 라인을 작성.

특히 요즘은 IntelliJ나 Eclipse 같은 통합 개발 환경(IDE)이 Maven의 기능을 상당 부분 자동으로 처리해 주기 때문에, Maven의 존재나 중요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개발자도 많다. 하지만 IDE의 편리함 뒤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Maven을 직접 다루고 그 생명주기를 이해함으로써, 개발자는 프로젝트의 빌드 흐름을 명확히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Maven #메이븐 #Java #자바 #빌드자동화 #프로젝트관리 #의존성관리 #개발자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개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