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나 공원에서 노트북을 꺼내 와이파이를 연결하려 할 때,
낯선 이름의 네트워크가 주르륵 뜬 적이 있을 것이다.
그중에는 스마트폰 이름이 붙은 와이파이도 있었을 텐데, 바로 이것이 핫스팟(Hotspot)이다.
요즘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공유기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핫스팟의 정의, 활용법, 설정 방법, 그리고 보안상 주의할 점까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핫스팟(Hotspot)이라는 단어는 직역하면 '뜨거운 지점' 혹은 '활발한 지역'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기술적 의미로는 무선 인터넷 신호가 집중되어 이용이 가능한 구역을 의미하며, 데이터 통신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중심점을 상징한다. 즉,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중심 지점이라는 점에서 '핫스팟'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자 하는 핫스팟이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기기를 통해 주변 기기에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가장 흔한 예가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의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해 노트북이나 태블릿에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료 와이파이 역시 핫스팟의 일종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핸드폰의 인터넷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다는 특징과 무제한 또는 무제한에 가까운 대용량 요금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핫스팟이 생각보다 높은 활용도를 보여준다.
- 출장 중 노트북 작업 시 : 호텔 와이파이가 느리거나 유료일 경우, 스마트폰 핫스팟을 통해 빠르게 인터넷 접속 가능
- 태블릿이나 게임기 연결 시 : 와이파이 모델의 태블릿은 LTE 연결이 불가하므로, 핫스팟으로 인터넷 사용
- 갑작스러운 인터넷 장애 시 대체 연결 : 집 인터넷이 끊겼을 때 긴급한 업무나 회의 참여를 위한 임시 연결 수단
핫스팟이 뭔지 알아봤으니, 당장 안 쓰더라도 간단하게 설정을 해보는 것도 좋다. 핫스팟 설정 방법을 따로 찾아보기보다는, 간략히 적어놓은 사용 방법을 토대로 핫스팟을 켜보자.
안드로이드 기준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핫스팟 및 테더링 선택
- 'Wi-Fi 핫스팟' 활성화
- 네트워크 이름(SSID)과 비밀번호 설정 가능
아이폰 기준
- 설정 > 셀룰러 > 개인용 핫스팟 선택
- '다른 사람의 접속 허용' 활성화
- 와이파이 비밀번호 설정
참고로, 핫스팟 연결 시 배터리 소모가 크므로 보조배터리 활용 또는 전원 연결을 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마찬가지 이유로, 핫스팟을 켰으면, 꼭 사용이 끝났을 때, 끄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핫스팟을 사용할 때, 굳이 말하지 않아도 유념해야 할 당연한 주의사항들이 있다.
- 보안 설정 필수: 암호화되지 않은 핫스팟은 해킹에 매우 취약하다. 반드시 WPA2 이상의 보안 프로토콜 사용과 비밀번호 설정이 필요하다.
- 데이터 요금 확인: 무제한 요금제라 해도 일부 통신사는 핫스팟 데이터 사용량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 접속 기기 관리: 핫스팟에 연결된 기기 리스트를 수시로 확인하여 불필요한 접속은 차단해야 한다.
최근에는 핫스팟이 오랫동안 연결되지 않고 켜져 있거나, 장기간 방치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꺼지기도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용 종료 후에는 꼭 종료해서, 핸드폰 발열 문제나 배터리 부족의 낭패를 겪는 일이 없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핫스팟은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보안이나 요금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보안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누군가 나에게 붙어 무분별한 데이터 사용과 보안 공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핫스팟 기능은 적절히 활용하면 외부에서도, 웬만한 장소에서도, 언제나 끊김 없는 인터넷 환경을 유지할 수 있어서 잘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가 필요한 작업들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T 정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푸핑이란? IT 보안의 위협을 파헤치다 (0) | 2025.04.23 |
---|---|
쿠키(cookie)란? 웹을 이해하는 첫걸음 (0) | 2025.04.22 |
중간자 공격이란? 우리 대화를 지켜보는 나쁜 눈이 있다? (0) | 2025.04.20 |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란? 데이터는 서버에서 요청은 클라이언트에서 (0) | 2025.04.19 |
CA란? 신뢰가 있다는 사이트는 누가 증명해주는 걸까?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