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란? 여러 언어를 함께 쓰는 시대의 개발 전략

by 희품 2025. 6. 4.
반응형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란? 여러 언어를 함께 쓰는 시대의 개발 전략 썸네일 이미지

과거에는 하나의 프로젝트에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언어의 장점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폴리글랏 프로그래밍(Polyglot Programming)이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리스, AI, 데이터 분석 등 복잡한 요구가 많아진 오늘날, 폴리글랏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실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이 되고 있다.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의 개념, 장단점, 활용 사례, 주의사항 등을 알아보자.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란?

폴리글랏의 뜻을 나타내는 이미지. 한 사람이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이미지.

폴리글랏(Polyglot)은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다.

이 개념이 프로그래밍에 적용된 것이 바로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다.

하나의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보자.

  • 백엔드는 Java로 작성하고, 프론트엔드는 JavaScript로 구현
  •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은 Python, 실시간 처리는 Go로 구성
  • 스크립팅과 자동화는 Bash, 주요 로직은 Rust로 구현

 

왜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을 사용할까?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이유를 3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표시하는 시각적 이미지

  1. 각 언어의 강점을 극대화
    • Python: 간결한 문법, 데이터 과학에 강함
    • Rust: 안전성과 성능 강조
    • JavaScript: 웹 UI/UX에 최적화
    • Java/Kotlin: 대규모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2. 팀 구성과 기술 스택 유연성 확보
    • 다양한 배경의 개발자가 협업 가능
    • 기술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요구사항에 맞는 언어 선택 가능
  3. 클라우드/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잘 맞음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의 단점 및 도전 과제

재능이 뛰어난 폴리글랏 프로그래머라고 하더라도, 모든 프로젝트를 다 입맛에 맞게 다양하게 나누어서 개발하는 것은 좋지 않다. (실무는 자랑이 아니다.)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을 하게 되면, 다양한 단점이 있는데, 각 프로그래밍 언어의 장점을 이용하려다가 오히려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디버깅을 오프라인에서 수행하는 동작을 시각화한 사진. 코드리뷰를 하는 모습.

  1. 복잡도 증가
    • 언어마다 개발/빌드/배포 도구가 달라 관리가 어려워짐
    • 온보딩 시 학습 곡선 상승
  2. 디버깅 및 테스트 환경 복잡화
    • 언어 간 오류 추적이 까다롭고, 통합 테스트 환경 구축이 필요함
  3. 성능과 인터페이스 이슈
    • 언어 간 호출 시 성능 오버헤드 발생 가능
    • 공통 인터페이스 설계가 필수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의 예시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은 실제로 어떤 프로젝트에서 사용했을까?

대표적인 예시가 마이크로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시로 사용되는 넷플릭스이다.

Apache Spark나 Jupyter Notebook처럼, 프레임워크 중심의 프로젝트도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의 예시가 될 수 있다.

넷플릭스와 개발코드를 적절히 섞은 이미지

  • Netflix: Java, Python, Node.js, Go 등 다양한 언어로 마이크로서비스 구성
  • Apache Spark: Scala로 핵심 로직, Python(RDD, DataFrame API)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 Jupyter Notebook: Python, R, Julia 등 여러 커널 지원을 통한 폴리글랏 분석 환경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에 적합한 도구 및 환경

폴리글랏 개발자는 개발 도구나 개발 환경을 각 프로그래밍 언어에 맞춰서 따로 따로 개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다양한 언어를 하나의 런타임에서 실행하거나, 컨테이너처럼 묶거나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나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도커(Docker)를 표시하는 이미지. 웹과 모바일에서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

  • GraalVM: 다양한 언어를 하나의 런타임에서 실행 가능
  • Docker/Kubernetes: 언어별 서비스를 컨테이너화하여 독립적으로 관리
  • gRPC/REST API: 언어 간 통신을 표준화
  • Monorepo 전략: 여러 언어를 한 저장소에서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언어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를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풀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언어 사용은 오히려 시스템 복잡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목적에 맞는 기술 선택과 체계적인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다양한 언어에 대한 이해와 협업 능력을 갖춘 개발자라면, 폴리글랏 환경은 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폴리글랏프로그래밍 #PolyglotProgramming #멀티랭귀지 #개발전략 #마이크로서비스 #GraalVM #클라우드개발 #DevOps #프로그래밍언어 #개발자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