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SAST란? 시프트 레프트 보안의 핵심

by 희품 2025. 10. 14.
반응형

SAST란? 시프트 레프트 보안의 핵심 썸네일 이미지

견고한 건물을 짓기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는 무엇일까? 바로 '설계' 단계이다. 만약 설계도에 구조적인 결함이 있다면, 아무리 좋은 자재로 튼튼하게 시공하더라도 결국 문제는 발생하고 만다. 나중에 건물을 부수고 다시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소프트웨어 개발도 이와 똑같다. 모든 코드가 작성되고 서비스가 배포된 후에야 보안 취약점을 발견한다면, 그 수정 비용과 시간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시프트 레프트(Shift Left)'이다. 개발 과정의 초기 단계, 즉 왼쪽(Left)으로 보안 활동을 옮겨(Shift) 오자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 시프트 레프트 사상의 중심에는 'SAST(정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가 있다.

 

SAST(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란?

정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트(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의 약어인 sast는 나무 문자 타일로 표현되는 개념.

SAST는 '정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의 약자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지 않는 '정적인(Static)' 상태에서 소스 코드, 바이트 코드, 또는 바이너리 코드를 분석하여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코드를 한 줄 한 줄 꼼꼼히 검토하며 잠재적인 보안 허점을 미리 찾아내는 '코드 건강검진'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직접 분석하기 때문에 '화이트박스 테스팅(White-box Testing)' 기법에 속하며,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잠재적인 위협을 식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SAST는 어떻게 취약점을 찾을까?

SAST 도구는 어떻게 실행하지도 않고 코드 속의 폭탄을 찾아내는 것일까? 그 작동 원리를 간단히 살펴보자.

XSS 3D 렌더링 일러스트레이션 아이콘. 흰색 배경에 고화질 JPG 파일 고립.

SAST는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과 코딩 표준(CWE, CERT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분석할 소스 코드를 마치 컴파일러처럼 파싱하여 코드의 흐름과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상세히 추적한다. 이 과정에서 규칙 데이터베이스에 명시된 위험한 패턴이나 잠재적인 취약점(예: SQL 인젝션,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 등)과 일치하는 부분을 발견하면, 개발자에게 해당 코드의 위치와 문제점을 알려준다. 덕분에 개발자는 어느 파일의 몇 번째 줄에 문제가 있는지 즉시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개발 파이프라인의 필수, SAST

현대의 빠른 개발 환경, 특히 데브옵스(DevOps) 환경에서 SAST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SAST를 도입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핵심적인 이점은 무엇일까?

소프트웨어 개발자 dev sec ops 엔지니어 태블릿을 사용하여 애자일 방법론 개발 보안 운영 프로그래밍 기술을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에 적용

  • 조기 발견 및 수정: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는 시점, 또는 코드를 중앙 저장소에 통합하는 CI(Continuous Integration) 단계에서부터 취약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버그 수정 비용을 극적으로 감소시킨다.
  • 개발자의 보안 역량 강화: SAST가 알려주는 취약점 리포트를 통해 개발자 스스로 안전한 코딩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이는 단순한 도구를 넘어 훌륭한 보안 교육 자료가 된다.
  • 전체적인 코드 품질 향상: 단순히 보안 취약점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 있는 코드 스멜(Code Smell)이나 버그 패턴까지 찾아내어 소프트웨어의 전반적인 안정성과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자물쇠와 인터넷 기술 데이터 개인 정보, 보안 암호화, 사이버 보안, 보안 인터넷 액세스로 보호 하는 사업가. 사이버 보안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개념

SAST는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테스트하는 DAST(동적 분석)와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다. SAST가 설계도의 결함을 찾는 것이라면, DAST는 완성된 건물의 방화 시설이나 비상 탈출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는 것과 같다. 이 두 가지를 함께 활용할 때 비로소 견고한 애플리케이션 보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보안은 나중'이라는 생각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안전한 소프트웨어는 개발의 첫 단계, 바로 코드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SAST #정적분석 #시큐어코딩 #개발보안 #DevSecOps #애플리케이션보안 #정보보안 #화이트박스테스팅 #보안취약점 #ShiftLeft #IT보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