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echnology
-
DNS 캐시 포이즈닝이란? 웹 보안의 치명적인 약점
인터넷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소창에 도메인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웹사이트에 접속된다.하지만, 이 단순한 과정 뒤에는 복잡한 DNS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이 공격당할 경우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그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가 DNS 캐시 포이즈닝(DNS Cache Poisoning)이다.DNS 캐시 포이즈닝은 어떤 보안 공격일까? DNS 캐시 포이즈닝이란?DNS 캐시 포이즈닝은 공격자가 DNS 서버의 캐시에 잘못된(위조된) 도메인-IP 정보를 주입하여 사용자들이 원래 의도한 웹사이트가 아닌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게 만드는 공격 기법이다.캐시(Cache): DNS 서버가 반복적인 질의를 줄이기 위해 도메인-IP 매핑 정보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저장소포이즈닝(Poisoning): 말 그대..
2025.04.26
-
DNSSEC이란? DNS 보안을 지키는 핵심 기술
인터넷의 기본 구조인 DNS는 빠르고 편리하지만, 보안에는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DNSSEC(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이다.전화번호부 같은 DNS에서 어떻게 보안 기술을 넣을 수 있을까? DNSSEC이란?DNSSEC은 기존 DNS에 전자 서명 기반의 보안 기능을 추가한 확장 기술이다.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DNS 질의를 보내는데, 이때 DNS 응답이 위조되거나 변조될 수 있다. DNSSEC은 이러한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응답 데이터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출처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DNSSEC이 필요한 이유기존에 사..
2025.04.25
-
DNS란? 도메인 이름 서비스, 인터넷의 전화번호부를 이해하자
우리는 매일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DNS라는 시스템이 없었다면, 네이버나 구글에 접속하는 일조차 어려웠을 것이다.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은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눈에 보이지 않게 작동하며, 인터넷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인프라 중 하나다.DNS의 기본 개념부터 동작 원리, 구성 요소, 보안 문제까지 이 글을 통해 이해한다면,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DNS가 무엇인지에 대해 누군가에게 설명도 쉽게 해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DNS란?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이다.사람은 'naver.com' 같은 도메인 이름을 기억하기 쉽지만, 컴퓨터는 숫자로 된 IP 주소(예: 2x3.1x0.20..
2025.04.24
-
스푸핑이란? IT 보안의 위협을 파헤치다
인터넷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보안 용어가 있다. 바로 '스푸핑(Spoofing)'이다.이 용어는 평소 뉴스나 IT 기사에서 종종 등장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어떤 피해를 야기하는지는 잘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마치 당연히 알고 있어야 하는 것처럼)그러니, 여기서 알아보도록 하자. 스푸핑(Spoofing)이란?스푸핑은 사전적으로 '속이다', '위장하다'라는 뜻으로, IT 보안에서 스푸핑은 공격자가 다른 사람이나 시스템을 가장해 접근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하는 행위를 말한다. 쉽게 말해,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로 위장하여 상대방을 속이고 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에 접근하는 공격 기법이다. 스푸핑은 단순한 사기에서부터 대규모 사이버 공격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2025.04.23
-
쿠키(cookie)란? 웹을 이해하는 첫걸음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쿠키를 허용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마치 과자처럼 들리는 이 "쿠키(cookie)"는 실제로 웹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특히 로그인 유지나 사용자 맞춤 설정, 광고 타겟팅 등 다양한 기능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웹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쿠키에 대한 개념은 반드시 알고 넘어가야 한다. 쿠키(Cookie)란?쿠키는 웹사이트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서버는 사용자가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쿠키를 생성해 클라이언트(사용자 브라우저)에 저장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같은 사이트를 재방문할 때 이 쿠키 정보를 통해 사용자 상태를 식별한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장바구니에 담은 물건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
2025.04.22
-
핫스팟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설정 방법까지
카페나 공원에서 노트북을 꺼내 와이파이를 연결하려 할 때,낯선 이름의 네트워크가 주르륵 뜬 적이 있을 것이다.그중에는 스마트폰 이름이 붙은 와이파이도 있었을 텐데, 바로 이것이 핫스팟(Hotspot)이다.요즘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공유기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핫스팟의 정의, 활용법, 설정 방법, 그리고 보안상 주의할 점까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핫스팟(Hotspot)이란?핫스팟(Hotspot)이라는 단어는 직역하면 '뜨거운 지점' 혹은 '활발한 지역'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기술적 의미로는 무선 인터넷 신호가 집중되어 이용이 가능한 구역을 의미하며, 데이터 통신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중심점을 상징한다. 즉,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중심 지점이라는 점에서 '..
2025.04.21
-
중간자 공격이란? 우리 대화를 지켜보는 나쁜 눈이 있다?
인터넷에서 개인정보를 주고받는 시대, 우리는 종종 '안전한 통신'을 당연하게 여긴다.하지만, 그 안에서 누군가가 우리의 대화를 몰래 엿듣고, 조작하고 있다면 어떨까?소름 돋는 일이지만, 실제로 일어나는 일이다.이러한 일을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MITM)이라고 한다.그들은 당신의 대화 속에 숨어 있다. 중간자 공격이란?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MITM)이란, 통신을 주고받는 두 사람, 혹은 두 기기 사이에 제삼자가 몰래 끼어들어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변조하는 공격 기법을 의미한다.당사자 A와 B는 서로 직접 통신하고 있다. 이들은 당연히, A와 B 둘이서만 통신한다고 믿고 있다.실제로는 공격자 M이 중간에서 모든 데이터를 가로채고, 필요..
2025.04.20
-
서버 클라이언트 구조란? 데이터는 서버에서 요청은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는 서버에서, 요청은 클라이언트에서 시작된다.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웹사이트나 모바일 앱은 단순히 버튼 하나를 눌렀다고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그 이면에는 데이터의 흐름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조가 있고, 그 중심에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존재한다. 서버, 클라이언트의 기본 개념서버 클라이언트 구조에서, 당연하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은 서버라는 개념과 클라이언트라는 개념이다.클라이언트(Client)는 요청을 보내는 주체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 웹 브라우저 등이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서버(Server)는 요청을 받아 응답을 보내는 대상이다.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서 fosterahope.tistory.com을 입력했을..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