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echnology
-
BIOS란? 컴퓨터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일어나는 일은?
우리는 매일 아무렇지 않게 컴퓨터의 전원 버튼을 누른다. 잠시 후 익숙한 운영체제(OS) 로고가 화면에 나타나고, 우리는 곧바로 인터넷 서핑을 하거나 문서 작업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 과정 사이, 즉 전원 버튼을 누른 직후부터 윈도우나 macOS 로고가 뜨기 전까지의 짧은 순간에 컴퓨터 내부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이 고요한 시간 속에서 시스템의 모든 것을 깨우고 지휘하는 숨은 지배자가 있으니, 바로 'BIOS(바이오스)'이다.사실 요즘은, 장비의 사양이 너무 좋아져서, 이 고요한 시간이 너무 짧아서 있는지도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다. BIOS란?BIOS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입출력을 담당하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소프트웨어처럼 ..
2025.10.18
-
IaC란? 실수 0, 속도 10배, 아직도 마우스 클릭으로 서버 설정하시나요?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 서버 10대를 똑같이 설정해야 하는 끔찍한 상황을 상상해 보자.관리 콘솔에 접속해 마우스를 수백 번 클릭하고, 키보드로 똑같은 명령어를 반복해서 입력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단 한 번의 실수라도 발생하면, 원인을 찾기 위해 모든 서버를 다시 확인해야 하는 악몽이 펼쳐진다. 과거에는 이것이 인프라 관리의 당연한 모습이었지만, 클라우드와 DevOps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방식은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 이제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작성하듯 인프라를 정의하고, 관리하며, 배포하는 혁신적인 패러다임, 바로 'IaC(Infrastructure as Code)'가 대세이다. IaC(Infrastructure as Code)란?IaC는 'Infrastructure as Code'의 약자로, 단어..
2025.10.17
-
SCA란? 편리하고 강력한 오픈소스, 거대한 보안 폭탄이 될 수도 있다고?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은 '창조'가 아닌 '조립'에 가깝다. 맨땅에 헤딩하듯 모든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시대는 지났다. 개발자들은 npm, Maven, PyPI 등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놀라운 속도로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이 편리함 뒤에는 우리가 미처 인지하지 못하는 거대한 그림자가 숨어있다. 만약 내가 가져다 쓴 오픈소스 코드 조각 하나에 치명적인 보안 취약점이 숨겨져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는 곧 내가 만든 서비스 전체가 거대한 보안 폭탄을 끌어안고 있는 것과 같다.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관리하는 핵심적인 보안 활동이 바로 'SCA(소프트웨어 구성 분석)'이다. SCA란?SCA는 'Software Composition Analysis'의 약자로..
2025.10.16
-
DAST란? 해커처럼 테스트하라, 동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수많은 웹 애플리케이션, 과연 얼마나 안전할까? 잘 만들어진 서비스의 이면에는 사용자의 정보를 노리는 수많은 보안 위협이 도사리고 있다. 마치 잘 지어진 건물이라도 외부 침입자가 드나들 수 있는 허술한 창문이나 뒷문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처럼, 우리가 만든 애플리케이션도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한지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이러한 점검 과정에서 마치 실제 해커의 입장에서 우리 시스템의 허점을 찾아내는 강력한 보안 테스트 기법이 있으니, 바로 'DAST(동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이다. DAST란?DAST는 'Dynam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동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이라고 부른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DAST는 애..
2025.10.15
-
SAST란? 시프트 레프트 보안의 핵심
견고한 건물을 짓기 위해 가장 중요한 단계는 무엇일까? 바로 '설계' 단계이다. 만약 설계도에 구조적인 결함이 있다면, 아무리 좋은 자재로 튼튼하게 시공하더라도 결국 문제는 발생하고 만다. 나중에 건물을 부수고 다시 지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소프트웨어 개발도 이와 똑같다. 모든 코드가 작성되고 서비스가 배포된 후에야 보안 취약점을 발견한다면, 그 수정 비용과 시간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 바로 '시프트 레프트(Shift Left)'이다. 개발 과정의 초기 단계, 즉 왼쪽(Left)으로 보안 활동을 옮겨(Shift) 오자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 시프트 레프트 사상의 중심에는 'SAST(정적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가 있다. SAST(Static Applicat..
2025.10.14
-
세상을 뒤흔든 최악의 보안 취약점, Log4j 사태
2021년 12월, 전 세계 IT 업계는 그야말로 대혼란에 빠졌다. 단 한 줄의 코드로 서버를 장악할 수 있는 역대급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름하여 'Log4Shell'. 이 취약점의 중심에는 바로 'Log4j'라는 아주 평범해 보이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평범한 로깅 라이브러리가 어떻게 전 세계를 위협하는 디지털 팬데믹의 진원지가 되었는지, 그 전말을 자세히 파헤쳐 보자. Log4j란?먼저 Log4j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Log4j는 자바(Jav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Log)를 남기기 위해 사용되는 아주 유명하고 널리 쓰이는 라이브러리이다. 개발자들은 프로그램을 만들 때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속 기록, 프로그램의 작동 상태, 오류 발생 여부 등을 ..
2025.10.13
-
개발자 필수 스킬, Log4j란? 왜 Log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할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과정은 마치 비행기를 조종하는 것과 같다. 순항 중에는 모든 것이 평온해 보이지만, 예상치 못한 난기류나 엔진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조종사에게 비행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계기판과 블랙박스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상상만 해도 끔찍한 상황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이러한 계기판과 블랙박스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로그(Log)'이다. 그리고 이 로그를 효과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가 바로 'Log4 j'이다. 개발의 필수, 로깅(Logging)이란?먼저 로깅이 무엇인지부터 명확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로깅은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나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따라 기록하는 행위 전반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로그인 시도, 데..
2025.10.12
-
데몬(Daemon)이란? 컴퓨터 속 숨은 일꾼 데몬의 정의와 종류, 역할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화면에 보이는 화려한 프로그램들만이 전부가 아니다.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운영체제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있다. 마치 시스템의 수호자처럼 말이다. IT 세계에서는 이러한 존재를 '데몬(Daemon)'이라고 부른다.이름만 들으면 어딘가 으스스한 느낌을 주지만, 사실 데몬은 우리 시스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이다. 이 데몬에 대해 깊이 있게 파헤쳐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데몬(Daemon)의 정확한 의미와 유래데몬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지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눈에 직접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들을 담당하는 프로세스..
202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