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BOOTP란? DHCP가 존재할 수 있게 해준 네트워크 정보 전달 기술

by 희품 2025. 5. 14.
반응형

BOOTP란? DHCP가 존재할 수 있게 해준 네트워크 정보 전달 기술 섬네일 이미지

지금은 대부분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DHCP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DHCP는 자동 IP 할당 기술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이 자동 IP 할당 기술은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다.

DHCP가 등장하기 전,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IP 주소와 기타 설정 정보를 제공해 주던 기술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BOOTP(Bootstrap Protocol)다. DHCP의 기반이 된 중요한 프로토콜, BOOTP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을까?

 

BOOTP(Bootstrap Protocol)이란?

Boot와 protocol로 분리해 BOOTP의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이미지

BOOTP(Bootstrap Protocol)는 네트워크 장비가 부팅 시 자신의 IP 주소와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받아올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Bootstrap'이란 용어는 컴퓨터가 전원을 켠 직후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초기화 과정을 의미하며, BOOTP는 이러한 부팅 과정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름 붙여졌다.

 

1985년에 개발되었으며, 클라이언트가 운영체제를 로딩하기 전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데 목적이 있다.

 

BOOTP의 작동 원리

BOOTP가 동작하는 핵심 원리는 장비가 네트워크가 켜질 때, 모든 연결된 네트워크로 정보 확인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동작을 통해 매핑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크게 3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broadcast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위성이 모든 곳을 쏴준다는 점을 참고하면 이해할 수 있음.

  1.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 시 BOOTP 요청을 브로드캐스트로 전송한다.
  2. BOOTP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IP 주소와 기타 정보를 응답한다.
  3. 클라이언트는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BOOTP의 주요 기능

BOOTP 역시 RARP와 마찬가지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부분 DHCP에서 BOOTP 역할까지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BOOTP의 핵심 기능은 장비의 ID라고 볼 수 있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기능이다.

MAC주소를 일상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시각적 사진

  • MAC 주소 기반 IP 주소 자동 할당
  •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정보 제공
  • 운영체제 이미지를 로드할 수 있는 TFTP 서버 주소 제공
  • 디스크 없이 네트워크 부팅(디스크리스 워크스테이션)에 활용
RARP의 업그레이드 기술, BOOTP와 RARP의 차이

RARP라는 기술이 BOOTP가 나오기 전 사용하던 기술이다. IP주소를 통해 MAC 주소를 매핑해 알 수 있게 도와주는 ARP 기술의 반대인, MAC 주소를 통해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서 사용하던 기술이 RARP이다.

MAC 주소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이미지

BOOTP와 RARP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RARP BOOTP
기능 IP 주소만 제공 IP 외에도 서브넷, 게이트웨이, 부팅 파일 정보 제공
확장성 매우 제한적 비교적 유연함
사용 주체 저수준 네트워크 장치 고급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운영체제 로딩 불가능 가능 (TFTP 지원)

 

즉, RARP에서 없던 다양한 정보와 운영체제 로딩 기능까지 추가한 기능이 BOOTP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BOOTP와 DHCP와의 관계

앞서 DHCP를 있게 해 준 기술이 BOOTP라고 소개하였다. BOOTP와 DHCP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BOOTP는 DHCP의 전신으로, DHCP는 BOOTP의 기능을 확장한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 있다.

DHCP의 원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 DHCP는 BOOTP를 완전히 대체하지 않고, 하위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 DHCP는 IP 주소 임대, 자동 갱신, 임대 시간 만료 후 회수 같은 기능을 추가해 훨씬 유연하게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

첫 번째 관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BOOTP는 RARP처럼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하위 호환을 유지하여 DHCP가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BOOTP는 오늘날 DHCP에게 자리를 넘겼지만, 네트워크 자동화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프로토콜이다.

디스크 없는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부팅을 가능하게 했고, 이후 DHCP가 등장하는 데 토대를 마련했다.

BOOTP를 이해하면 DHCP의 구조와 원리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BOOTP #DHCP전신 #네트워크기초 #IP자동할당 #네트워크부팅 #디스크리스 #RARP #DHC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