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IP 주소 체계는 IPv4 기반이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IPv6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사실, 아직 그렇게까지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많은 글로벌 플랫폼의 온라인 서비스에서 IPv6을 지원하는 만큼, 기술적으로는 보편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IPv6 환경에서도 장치 간 통신을 위해 주소를 해석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IPv4에서 ARP가 그 역할을 했다면,
IPv6에서는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IPv6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인 NDP란 무엇일까?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 이웃 발견 프로토콜)는 IPv6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장치 간 주소 해석, 라우터 발견, 주소 중복 검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ICMPv6 기반으로 동작하며, IPv4에서 ARP, ICMP Router Discovery, Redirect 등을 통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 이웃 발견 프로토콜)는 IPv6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이웃 장치(Neighbor)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장치 간 주소 해석, 라우터 발견, 주소 중복 검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ICMPv6 기반으로 동작하며, IPv4에서 ARP, ICMP Router Discovery, Redirect 등을 통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NDP는 IP와 MAC 주소를 연결해 주는 ARP와 같은 역할을 한다.
- Neighbor Solicitation/Advertisement: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 기능 수행 (ARP 대체)
- Router Solicitation/Advertisement: 라우터 자동 탐색 기능 제공
- Redirect Message: 더 나은 라우팅 경로가 있을 경우 경로 변경 안내
- Duplicate Address Detection (DAD): 네트워크 상에서 중복된 IP 주소 사용 여부 확인
참고로 Solicitation은 요청, 권유 등을 의미하는 단어이고, Advertisement는 광고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다.
NDP는 ICMPv6 메시지를 통해 동작한다.
- 호스트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Router Solicitation 메시지를 전송
- 라우터는 이에 대한 Router Advertisement 메시지로 응답하여 네트워크 정보 제공
- 장치 간 통신 시 Neighbor Solicitation을 보내 MAC 주소 확인 → 응답으로 Neighbor Advertisement 수신
- IP 주소를 자동 구성하고, 중복된 주소가 감지되면 다른 주소를 시도함
ARP와 NDP는 단순히 IPv4와 IPv6라는 크기 외에도 차이점이 존재한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보안 기술도 들어가고, 좀 더 효율적인 기능도 추가되었다.
ARP(IPv4) | NDP(IPv6) | |
프로토콜 기반 | 독립된 프로토콜 | ICMPv6 기반 |
기능 | MAC 주소 조회 | MAC 주소 조회 + 라우터 탐색 + 주소 중복 감지 등 |
보안 | 기본적으로 취약 | 보안 확장(RFC 3971 - SEND) 존재 |
브로드캐스트 사용 여부 |
사용함 | 멀티캐스트 사용 (네트워크 효율 향상) |
보안 이슈와 대응 방안 NDP는 기본적으로 인증이 없기 때문에 스푸핑 및 라우팅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SEND(Secure Neighbor Discovery, RFC 3971)가 있다.
하지만, 실제 적용은 복잡하고 비용이 높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만 제한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NDP는 IPv6에서 ARP를 포함한 여러 기능을 통합한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주소 해석, 라우터 탐색, 중복 감지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구성과 안정성을 돕는다.
IPv6 시대를 대비하는 네트워크 관리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개념 중 하나다.
#NDP #IPv6 #NeighborDiscovery #ICMPv6 #네트워크기초 #ARP대체 #IPv6주소설정 #보안프로토콜
'IT 정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해준다? DHCP란? (0) | 2025.05.13 |
---|---|
IP 주소를 거꾸로 찾는 기술, RARP란? (0) | 2025.05.12 |
네트워크 통신의 두 축,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 (2) | 2025.05.10 |
집에서도 나만의 클라우드, NAS란 무엇인가? (3) | 2025.05.09 |
외부에서 내부로 안전하게 연결하는 방법, 포트 포워딩이란? (2)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