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은 어떻게 실행될까?

by 희품 2025. 5. 19.
반응형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은 어떻게 실행될까? 썸네일 이미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 생각해 본 적 있는가?
코드가 단순히 마법처럼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해 주는 '중간자'가 필요하다.
이 역할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이 바로 '컴파일러(Compiler)'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 그리고 어떤 언어들이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 쉽게 설명해 보자.

 

컴파일러(Compiler)란?

컴파일러로 실행파일이 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이미지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번에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즉, 소스 코드를 입력받아 한 번에 실행 파일(.exe 등)로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이 파일은 나중에 컴파일 없이도 바로 실행 가능하다.

  • 장점: 빠른 실행 속도, 배포 용이
  • 단점: 디버깅이 어렵고, 수정 시마다 다시 컴파일 필요

대표 언어: C, C++, Go, Rust 등

 

 

인터프리터(Interpreter)란?

인터프리터는 코드를 한 줄씩 읽고, 그때그때 해석하여 실행하는 방식이다. 실행 파일을 만들지 않고, 코드가 실행될 때마다 해석 과정을 거친다.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인 파이썬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이미지

  • 장점: 실행이 유연하고, 디버깅이 쉬움
  • 단점: 실행 속도가 느릴 수 있음

대표 언어: Python, JavaScript, Ruby, PHP 등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가 무조건 컴파일러 방식이다, 인터프리터 방식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결국 프로그래밍 언어들도, 컴파일러의 장점과 인터프리터의 장점만을 얻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실행 방식 전체 코드를 한 번에 번역 한 줄씩 해석하며 실행
실행 속도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에러 발견 컴파일 시 전체 확인 실행 중 발견됨
파일 생성 실행 파일 생성 실행 파일 없음
디버깅 상대적으로 복잡 비교적 쉬움

 

코딩을 하던 모니터 화면과 노트북과 화분이 있는 시각적 이미지

언어별로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살펴보자.

  • C 언어: 컴파일러 사용. 소스코드를 컴파일해서 .exe 파일 생성 후 실행
  • Python: 인터프리터 사용. 소스코드를 즉시 해석하며 실행
  • Java: 컴파일 후 JVM에서 실행되므로, 컴파일러+인터프리터 혼합 방식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택할 때, 어떤 방식의 언어가 좋을까?

  • 배포 중심: 실행 속도가 중요하고,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경우 → 컴파일러
  • 개발 중심: 테스트, 디버깅, 프로토타이핑이 자주 필요한 경우 → 인터프리터
  • 혼합 방식: 자바처럼 컴파일 후 가상 머신에서 실행하여 장점을 취한 방식도 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서로 다른 방식이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개발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두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언어를 선택하고 코드 실행 흐름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프로그래밍기초 #코드실행원리 #프로그래밍언어 #Python #C언어 #Java #개발상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