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CORBA의 국제 공용어, IIOP 프로토콜의 모든 것

by 희품 2025. 8. 23.
반응형

만약 전 세계 사람들이 각자 다른 언어만 사용하고 공용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간단한 의사소통조차 불가능할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세계도 마찬가지이다. 1990년대, 수많은 기업이 각자의 방식으로 분산 컴퓨팅 기술을 개발하면서 '표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A사에서 만든 ORB(객체 요청 브로커)와 B사에서 만든 ORB가 서로 통신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개방형 분산 시스템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국제 표준 통신 규약이 바로 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이다.

 

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란?

IIOP 프로토콜, Internet Inter-ORB 프로토콜

IIOP는 이름 그대로 인터넷(TCP/IP)을 통해 서로 다른 ORB 간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표준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특정 벤더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객체 통신을 위한 공용어'라고 할 수 있다.

 

IIOP 덕분에 자바로 개발된 ORB와 C++로 개발된 ORB가 아무런 문제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협력할 수 있게 되었다. 즉, CORBA가 꿈꾸던 '어디서든, 어떤 환경에서든' 객체를 호출하는 비전을 실현시켜 준 기술의 근간이다.

 

IIOP의 핵심 메커니즘은? 어떻게 통신할까?

IIOP는 복잡한 이기종 환경의 통신을 위해 몇 가지 핵심적인 메커니즘을 정의하고 있다.

프로토콜을 전자적으로 표현한 3D 이미지

  • CDR (Common Data Representation): 데이터 표현의 표준화
    • 컴퓨터마다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숫자를 저장할 때 바이트 순서가 다른 빅 엔디안(Big-endian)과 리틀 엔디안(Little-endian) 방식이 있다. IIOP는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 데이터 표현(CDR)이라는 표준을 사용한다. 모든 데이터(정수, 부동소수점, 문자열 등)는 전송 전에 CDR 형식으로 변환(마샬링)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형식으로 다시 변환(언마샬링)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깨지거나 잘못 해석될 우려 없이 안전하게 전달된다.
  • IOR (Interoperable Object Reference): 원격 객체의 주소
    •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저편에 있는 객체를 어떻게 찾아갈 수 있을까? IIOP는 상호 운용 가능한 객체 참조(IOR)라는 일종의 '표준 주소 체계'를 사용한다. IOR 안에는 해당 객체가 존재하는 서버의 IP 주소, 포트 번호, 그리고 객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객체 키(Object Key) 등의 정보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 IOR 정보만 있으면, 마치 웹 브라우저가 URL 주소로 웹사이트를 찾아가듯 정확하게 원격 객체에 연결할 수 있다.
  • GIOP (General Inter-ORB Protocol): IIOP의 기반
    • 사실 IIOP는 GIOP라는 더 일반적인 프로토콜을 TCP/IP 환경에 맞게 구체화한 것이다. GIOP는 ORB 간의 통신에 필요한 메시지 형식(예: 요청, 응답, 에러 등)과 데이터 타입 표현(CDR) 등 일반적인 규칙을 정의한다. IIOP는 이 GIOP 메시지를 TCP/IP 패킷에 실어 나르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GIOP가 '무엇을 어떻게 말할지'를 정의한다면, IIOP는 '그 말을 인터넷을 통해 어떻게 전달할지'를 정의하는 셈이다.

 

현대 프로토콜과 IIOP를 비교해본다면?

오늘날 웹 기반의 서비스들은 대부분 HTTP 프로토콜 위에서 JSON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RESTful API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IIOP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JSON 형식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 상태 관리: IIO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연결을 유지하는 상태 기반(Stateful) 프로토콜이다. 반면 HTTP는 기본적으로 각 요청이 독립적인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이다.
  • 데이터 형식: IIOP는 CDR이라는 효율적인 바이너리(2진) 형식을 사용한다. 이는 사람이 직접 읽기는 어렵지만 컴퓨터가 처리하는 속도는 빠르다. REST API는 주로 사람이 읽고 쓰기 편한 텍스트 기반의 JSON을 사용한다.
  • 방화벽 친화성: HTTP는 웹 통신을 위한 표준 포트(80, 443)를 사용하므로 대부분의 방화벽을 쉽게 통과한다. 반면 IIOP는 다양한 포트를 사용할 수 있어 방화벽 환경에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IIOP는 복잡하고 엄격한 트랜잭션 처리가 필요하며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기업 내부 시스템에 더 적합했고, REST API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웹 서비스 연동에 더 적합한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작업 안전 및 규정 준수 개념, 안전 우선, 보호 장치, 하드 모자, 체크리스트, 작업장 안전, 건강 프로토콜 및 규정 준수를 포함하여 작업 안전 및 규정 준수 아이콘을 가진 사람

결론적으로 IIOP는 분산 컴퓨팅 역사에서 '상호 운용성'이라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운 프로토콜이다. 비록 새로운 기술의 등장으로 과거만큼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서로 다른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약속의 중요성을 보여준 선구적인 기술임은 분명하다. 지금도 수많은 금융, 통신, 국방 시스템의 깊숙한 곳에서 IIOP는 묵묵히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IIOP #CORBA #GIOP #프로토콜 #분산컴퓨팅 #미들웨어 #네트워크프로토콜 #IT기술 #개발자 #레거시시스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