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

WebIDL이란? 웹 브라우저의 보이지 않는 설계도 파헤치기

by 희품 2025. 8. 21.
반응형

WebIDL이란? 웹 브라우저의 보이지 않는 설계도 파헤치기 썸네일 이미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어떻게 웹 브라우저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일까?
document.getElementById()
와 같은 간단한 명령어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등 각기 다른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그 비밀의 중심에는 'WebIDL(웹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 Web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이 있다.
웹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보이지 않는 영웅, WebIDL의 정체를 알아보자.

 

WebIDL, 웹 API의 표준 설계도

WebIDL의 역할을 표시해주는 이미지

WebIDL은 이름 그대로 웹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API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IDL)이다. 이는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 의해 표준으로 관리되며, 웹 브라우저가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스크립팅 언어에 노출해야 하는 API의 모습을 명세하는 데 사용된다.

 

쉽게 비유하자면, WebIDL은 '웹 브라우저 기능 사용 설명서'의 표준 양식이다. 브라우저 개발사(구글, 모질라, 애플 등)들은 이 표준 양식에 맞춰 DOM, Fetch API, Web Storage 등 수많은 웹 API의 명세를 작성한다. 이렇게 정의된 명세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종속되지 않는 중립적인 형태를 띤다.

 

 

WebIDL이 필요한 이유

C++를 상징하는 금속적이고 복잡한 구조의 땅과 JavaScript를 상징하는 활기차고 동적인 패턴의 땅 사이를 'WebIDL'이라는 이름의 빛과 데이터 흐름으로 만들어진 다리가 연결하고 있는 이미지.

브라우저의 핵심 엔진은 대부분 C++과 같은 고성능 언어로 만들어진다. 반면, 웹 개발자들은 주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이 기능들을 활용한다. 이 두 언어는 데이터 타입부터 객체 모델까지 모든 것이 다르다. WebIDL은 바로 이 이질적인 두 세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

 

WebIDL로 작성된 API 명세가 있으면, 각 브라우저 벤더는 이를 바탕으로 자바스크립트 객체와 내부 C++ 객체를 연결하는 '바인딩(Binding)'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과정 덕분에 개발자는 브라우저 내부의 복잡한 구현을 전혀 몰라도, 마치 원래부터 자바스크립트 기능이었던 것처럼 window, document 객체 등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WebIDL이라는 표준이 없다면, 각 브라우저마다 API 호출 방식이 달라져 웹 개발은 끔찍한 파편화 문제를 겪게 될 것이다.

 

 

WebIDL의 기본 구조 살펴 보기

WebIDL의 문법은 어떻게 생겼을까? 간단한 예시를 통해 그 구조를 살펴보자.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표시하는 컴퓨터 화면

// 웹 콘솔에 메시지를 출력하는 Console API의 일부
[Exposed=Window]
interface Console {
  void log(any... data);
  void warn(any... data);
  void error(any... data);
};

위 코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console.log()의 인터페이스를 WebIDL로 정의한 것이다. 몇 가지 주요 키워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interface: 자바스크립트 세계에 노출될 객체의 껍데기를 정의한다. 여기서는 Console이라는 객체를 정의하고 있다.
  • void: 함수의 반환 값이 없음을 의미한다.
  • log(any... data): log라는 이름의 함수(Operation)를 정의한다. any는 어떤 타입의 데이터든 받을 수 있음을, ...는 여러 개의 인자를 받을 수 있음을 뜻한다.
  • [Exposed=Window]: 이 Console 인터페이스가 전역 객체인 Window 환경에서 노출됨을 나타내는 확장 속성(Extended Attribute)이다.

이처럼 WebIDL은 간결하고 명확한 문법을 통해 웹 API의 구조, 메서드, 속성 등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기술한다.

 

 

다른 IDL과 차이점이 있다면?

아파치 스리프트(Apache Thrift)나 구글의 gRPC 등도 IDL을 사용한다.

gRPC 고성능 원격 프로시저 호출 프레임워크 마이크로서비스 다이어그램 체계의 서버 간 통신 흰색 배경

하지만 WebIDL과는 그 목적과 사용 범위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다. 스리프트와 같은 IDL은 서버와 서버, 즉 백엔드 시스템 간의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을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와 함수를 정의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반면, WebIDL은 오직 웹 플랫폼 내에서 자바스크립트와 브라우저 엔진(C++)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WebIDL이 현대 웹 기술의 핵심 표준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결론적으로 WebIDL은 현대 웹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표준이다.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는 크로스 브라우징의 편리함과 웹 API의 일관성은 모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제 역할을 다하는 WebIDL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꼬리말 이미지.

 

#WebIDL #IDL #웹API #자바스크립트 #프론트엔드 #웹개발 #W3C #브라우저 #DOM #웹표준 #인터페이스정의언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