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누가 내 정보를 노리겠어?'
인터넷에서 가장 위험한 말이다. 일상 속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무심코 인터넷에 맡기고 살아간다.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 카드번호까지.
카드로 결제를 했는데, 당장 크롬 브라우저에서 카드 정보를 저장하겠냐고 물어본다.
편하라고 쓰는 건데, 많은 정보를 인터넷에 맡기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요점은 '이런 정보들이 암호화 없이 그대로 인터넷 밖으로 오고 간다면 어떨까?'라는 의문이다.
SSL(Secure Sockets Layer)은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보안 프로토콜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주고, 외부에서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조작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사실, SSL 이후에 나온 프로토콜이 TLS가 더 많이 사용되기는 하지만, 관용적으로 SSL이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를 입력할 일이 많아지면서 SSL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SSL은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웹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는 장치이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SSL은 두 서버 사이, 다시 말해 웹사이트와 브라우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중간에서 볼 수 없는 데이터로 주고받아 인터넷 연결을 보호하는 기술이다.
암호화해서 데이터를 보냈는데, 받는 사람은 어떻게 데이터를 열 수 있을까? 여기서 필요한 게 SSL 인증서이다.
SSL 인증서는 해당 웹사이트가 신뢰할 수 있는 주체임을 증명하는 디지털 문서로, 사용자의 브라우저는 이 인증서를 통해 서버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브라우저가 사용자에게 인증서와 관련된 경고를 뿜고 있으면, 그 사이트에는 SSL 인증서가 없거나 유효하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특히 사내에서 테스트 중이거나 내부용이 아닌 사이트, 초면인 사이트에서 로그인, 회원가입, 결제 등의 기능을 사용하는데, SSL 인증서가 없다거나 경고가 나온다면, 꼭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혹은, 가짜 사이트가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한다.
SSL을 사용하는 사이트에서 SSL 인증서까지 확인이 된다면, 데이터 탈취로부터 사용자르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브라우저를 이용한다는 것은 인터넷이 된다는 건데, 인터넷이 되니 업데이트에도 웬만한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다.
따라서, 요즘에는 브라우저가 다 좋아졌고, 자동 업데이트 되어, 보안 이슈나 표시 방식은 대부분 일관성이 있어졌다.
SSL이 적용되면, 브라우저 주소창에 자물쇠 아이콘이 표시된다. 혹은 주소 정보에서 안전하다는 문구가 표시된다.
브라우저에서 이렇게 친절하게 설명해주지 않아도, URL이 https:// 로 시작한다면, SSL 적용이 되어있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된다. 다만, 브라우저에서 '보안되지 않음' 같은 경고가 나타난다면, 인증서에 문제가 있으니 잘 살펴보고 이용을 해봐야 한다.
테스트 목적으로나 인증서를 구하지 못해서 SSL은 적용했지만, 인증서는 아직 적용하지 못한 사이트도 많기 때문에, 무조건 보안 경고가 나타난다고 심각한 위협이 있는 사이트로 확정 짓는 것도 무리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서 잘 판단해봐야 한다.
SSL은 로그인 정보나 카드번호, 주소 등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외부에서 탈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막아준다. 또한, 인증서를 통해 보안을 적용하기 때문에 SSL이 적용된 사이트는 사용자에게 신뢰를 준다. 사이트의 신뢰는 재방문이나 전환율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검색 엔진 최적화에도 도움이 되는데, 구글 등 대부분의 대표적인 검색 엔진은 SSL이 적용된 사이트를 우선적으로 표시해 주게 된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보안이 좋아야 보호에도, 향상에도, 최적화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SSL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신뢰와 안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SSL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고, 사용자 또한 이를 기준으로 웹사이트 신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HTTPS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HTTPS가 적용되지 않은 외부 서비스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행위는 무조건 피하고 보자.
#SSL #보안 #https #TLS #웹사이트보안 #개인정보보호
'IT 정보 >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란? 신뢰가 있다는 사이트는 누가 증명해주는 걸까? (0) | 2025.04.18 |
---|---|
TLS란? 인터넷 보안을 책임지는 SSL의 다음 세대 (1) | 2025.04.17 |
HTTP 2란? 웹의 속도를 혁신적으로 다시 쓴 기술 (1) | 2025.04.14 |
디버깅이란? IT 개발자가 문제를 개선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1) | 2025.04.13 |
토폴리지란? 장소의 연구, 네트워크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