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102

웹 스케일(Web Scale)이란? 대규모 서비스를 위한 확장 전략의 핵심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웹 스케일(Web Scale)이라는 용어가 점점 더 자주 등장하고 있다.이는 단순히 서버를 많이 늘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처럼 수억 명의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와 운영 방식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웹 스케일(Web Scale)의 정의웹 스케일이란 대규모 트래픽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분산 시스템 아키텍처를 의미한다.수십억 건의 요청, 페타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글로벌 사용자 기반 등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처리할 수 없는 수준의 확장을 고려한다. 주요 특징을 알아보자.자동 확장성(Scalability): 수요 증가 시 시스템이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함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2025. 6. 29.
LLM(Large Language Model)이란? - 생성형 AI 시대의 핵심 기술 요즘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LLM(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언어 모델)이다.ChatGPT, Claude, Gemini 등 우리가 접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들은 모두 이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한다.LLM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자연어 처리(NLP)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고 있는 핵심 엔진이라 할 수 있다. LLM이란 무엇인가?LLM(Large Language Model)은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한 언어 모델로, 문장을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이다.수십억 개의 문장, 단어, 구문 패턴을 분석하고 학습하여, 마치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언어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LLM이 활용되는 방식을 살펴보자. 질문 응답: 사용자의.. 2025. 6. 28.
XSS(교차 사이트 스크립팅)란? - 사용자와 서버를 동시에 노리는 웹 공격 인터넷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대표적인 웹 취약점 중 하나가 바로 XSS(Cross-Site Scripting,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이다.XSS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공격이자, 서비스 신뢰도에도 영향을 주는 심각한 보안 이슈다. XSS(Cross-Site Scripting)란?\XSS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적절히 필터링하지 않고 HTML에 출력할 때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이다. 공격자는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 해당 스크립트가 실행되도록 만들 수 있다.일반적으로, 영어 단어(용어)에서는 Cross를 X로 표시한다. 그래서 Cross-Site Scripting를 약자로 써서 XSS라고 불린다... 2025. 6. 27.
SQL Injection이란? - 웹과 DB 보안의 기본을 지키는 첫걸음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운영해 본 사람이라면 'SQL Injection(SQL 인젝션)'이라는 단어를 반드시 들어봤을 것이다.이는 보안상 가장 치명적이면서도, 동시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공격 방식 중 하나다. 특히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웹사이트라면 누구든 이 위협에 노출될 수 있다. SQL Injection 이란?SQL Injection은 사용자 입력값을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SQL 쿼리에 그대로 포함시킴으로써 악의적인 명령을 실행하게 만드는 공격 기법이다. 예를 들어, 로그인 폼이나 검색창 등에 삽입된 코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다.공격자는 입력값에 SQL 구문을 삽입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 자체를 조작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어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지.. 2025. 6. 25.
개발자의 필수 도구, IDE란 무엇인가? 프로그래밍을 막 시작한 초보자든, 수년간의 경력을 쌓은 숙련된 개발자든 간에 IDE라는 용어는 반드시 마주하게 된다.마치 요리사에게는 잘 드는 칼이 필요하듯, 개발자에게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그 중심에 바로 IDE(통합 개발 환경,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가 있다. IDE란 무엇인가?IDE는 코드 편집, 컴파일, 디버깅, 배포 등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소프트웨어 도구이다.일반 텍스트 에디터와는 달리, IDE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최적화된 기능들을 제공하여 개발 속도와 정확도를 높여준다.대표적인 IDE를 살펴보자.Visual Studio: .NET 및 C++ 개발에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In.. 2025. 6. 24.
방화벽(Firewall)이란? 네트워크 보안의 첫 번째 관문 사이버 공격이 일상화된 시대, 네트워크를 외부 위협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첫 번째 방어선은 무엇일까? 바로 방화벽(Firewall)이다.방화벽은 허용된 트래픽만 통과시키고, 비정상적인 접근은 차단하는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장치다.방화벽의 정의, 동작 원리, 종류, 활용 사례, 설정 시 고려사항 등을 자세히 알아보자. 방화벽(firewall)이란?방화벽은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와 내부 네트워크(예: 사내망) 사이에서 트래픽을 제어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허용된 규칙에 맞는 트래픽은 통과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 차단하거나 기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방화벽(Firewall)'이라는 용어는 원래 건축 용어에서 시작되었다.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구획을 나누는 방화벽(耐火壁)을 의미한다. 이.. 2025. 6. 23.
NLP란? 자연어를 이해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사람은 언어로 생각하고, 말하고, 기록한다. 하지만 컴퓨터는 인간 언어를 그대로 이해하지 못한다.이 간극을 좁혀주는 기술이 바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이다.인공지능이 인간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기술이자, 챗봇부터 번역, 요약, 감정 분석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NLP의 정의, 주요 기술, 활용 사례, 최신 동향, 개발 시 고려사항 등을 살펴보자.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란?NLP는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자연어)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해석하고, 생성하도록 돕는 기술이다. 음성 언어(말하기·듣기)뿐만 아니라, 문어체(쓰기·읽기)도 포함된다. 인공지능(AI)과 언어학, 컴퓨터공학이 융합된 분야로, 텍스트 또는 음성.. 2025. 6. 2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 시대의 새로운 기술 언어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단순한 질문 하나에도 결과가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상황이 벌어진다. 이처럼 AI에게 원하는 결과를 끌어내기 위한 질문 설계 기술, 그것이 바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다.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개념, 필요성, 기본 전략, 실무 활용 사례, 주의사항 등을 설명해 본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Prompt Engineering)이란?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 언어 모델에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지시를 내리기 위한 입력(prompt)을 설계하는 기술이다.단순히 문장을 입력하는 것을 넘어서, 모델이 문맥을 잘 이해하고 기대한 형식이나 내용을 출력하도록 돕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 기술은 자연어 처리(NLP) 기반의 AI, 특히 G.. 2025. 6. 21.
SDK란? 개발을 쉽게 만드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앱이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모든 기능을 처음부터 직접 만들 필요는 없다.예를 들어, 결제 기능을 추가하거나 지도 서비스를 연동하고 싶다면? 이럴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바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다.SDK의 개념, 구성 요소, API와의 차이, 활용 사례, 선택 시 고려사항 등을 알아보자. SDK란?SDK는 특정 플랫폼이나 서비스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모음이다.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특정 서비스(API)에 맞게 구성되며, 개발자가 반복적인 작업 없이 빠르게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해 준다. 예를 들면, Android 앱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Android SDK, 결제 연동을 위한 .. 2025. 6. 20.
리팩토링(Refactoring)이란? 코드 품질을 높이는 구조 개선 기법 완전히 잘 작동하는 코드라고 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다.기능은 많아지는데, 코드는 점점 복잡해지고 읽기 어려워진다면? 이런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리팩토링(Refactoring)이다. 리팩토링은 코드의 외부 동작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작업을 말한다.리팩토링의 개념, 목적, 주요 기법, 주의사항, 실무 활용 사례 등을 알아보자. 리팩토링(Refactoring)이란?리팩토링은 소프트웨어의 동작 방식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코드의 구조, 가독성, 설계 품질을 개선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코드가 지나치게 길거나 중복이 많고, 변수 이름이 모호하거나, 함수가 너무 많은 책임을 지고 있을 때 리팩토링이 필요하다. 이 개념은 켄트 벡(K.. 2025. 6. 19.
BDD란? 사용자 관점에서 개발을 이끄는 행동 주도 개발 소프트웨어는 결국 사람을 위한 도구다. 그렇다면 개발도 사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BDD(Behavior-Driven Development, 행동 주도 개발)는 이러한 생각에서 출발한 개발 방법론이다.BDD는 테스트 주도 개발(TDD)을 확장하여,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개발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BDD의 정의, 핵심 개념, 문법 구조, TDD와의 차이점, 도구, 실무 적용 방안 등을 알아보자. BDD란?BDD(Behavior-Driven Development)는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와 비즈니스 관점에서 시스템의 동작을 정의하고, 이를 테스트 기반으로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2003년경 댄 노스(Dan North)가 TDD를 개선하고자 제안하였다. 핵심은 모든.. 2025. 6. 18.
TDD란? 테스트 주도 개발로 만드는 견고한 코드 버그 없는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은 없을까? 개발 단계에서부터 오류를 예방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 해답 중 하나가 바로 TDD(Test-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이다.TDD의 개념, 절차, 장단점, BDD와의 차이, 실무 적용 팁까지 알아보자. TDD란?TDD(Test-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는 '테스트가 먼저'인 개발 방법론이다. 즉,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드를 구현한 뒤, 코드를 리팩터링 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방식은 코드 품질 향상과 리팩터링 안정성 확보에 큰 도움을 준다. TDD는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 사이에 켄트 벡.. 2025.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