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용어56

IP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해준다? DHCP란? 새로운 장치를 와이파이에 연결했는데 아무런 설정도 하지 않았는데도 인터넷이 바로 되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해봤을 것이다. 아니, 보통 전문가가 아니라면 보통 와이파이 연결하면 인터넷이 바로 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길 수 있다.이렇게 바로 인터넷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네트워크에서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DHCP'라는 프로토콜 덕분이다. 이 글을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화해주는 핵심 기술,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에 대해 소개한다. DHCP란?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다.DHCP를 풀어보면,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이라는 뜻.. 2025. 5. 13.
IP 주소를 거꾸로 찾는 기술, RARP란? 보통 우리는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통신을 할 수 있다그런데 만약 장치가 처음 부팅되었을 때, 자신의 IP 주소를 모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이럴 때 필요한 기술이 바로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다.과거에 사용되었으나 요즘에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여전히 개념적으로는 중요한 RARP에 대해서 알아보자. RARP(Rever ARP)란?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역 주소 결정 프로토콜)는 네트워크 장치가 자신의 MAC 주소를 이용해 IP 주소를 요청하고 할당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일반적인 ARP가 IP 주소로 MAC 주소를 찾는 것과 반대로, RARP는 MAC 주소로 IP 주소를 찾.. 2025. 5. 12.
IPv6의 ARP, NDP란 무엇인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IP 주소 체계는 IPv4 기반이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IPv6가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사실, 아직 그렇게까지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많은 글로벌 플랫폼의 온라인 서비스에서 IPv6을 지원하는 만큼, 기술적으로는 보편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IPv6 환경에서도 장치 간 통신을 위해 주소를 해석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IPv4에서 ARP가 그 역할을 했다면,IPv6에서는 '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IPv6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인 NDP란 무엇일까? NDP란?NDP(Neighbor Discovery Protocol, 이웃 발견 프로토콜)는 IPv6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장치 간 주소 해석, 라우터 발견,.. 2025. 5. 11.
네트워크 통신의 두 축, IP 주소와 MAC 주소의 차이 우리가 스마트폰이나 PC로 인터넷을 사용할 때, 그 뒤에서는 수많은 데이터가 정해진 주소를 따라오고 간다.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IP 주소와 MAC 주소다.둘 다 '주소'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실제 역할은 완전히 다르다.이 두 주소가 각각 무엇이고, 어떻게 다르며,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IP 주소란?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 주소다.IP 주소는 집 주소처럼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로 가기 위해 필요한 정보다.IPv4 예시: 192.168.0.1IPv6 예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IP 주소는 네트워크에 따라 할당되며, 일반적으로 동적으로 할당(DHCP.. 2025. 5. 10.
집에서도 나만의 클라우드, NAS란 무엇인가? 사진, 영상, 업무 파일이 점점 많아지면서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이럴 때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자니 용량은 부족하고, 보안도 걱정된다.그래서 요즘 주목받는 것이 바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다.NAS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점을 고려해 선택해야 할까? NAS란?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에 연결해 사용하는 저장 장치로,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접속해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흔히 말하는 '개인용 클라우드'로 불리며,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데이터를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NAS의 주요 기능NAS는 단순히 내가 지정한 파일을 외부에서 접속하고 끝나는 .. 2025. 5. 9.
외부에서 내부로 안전하게 연결하는 방법, 포트 포워딩이란? 원격으로 집에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거나, 친구에게 내가 만든 게임 서버에 접속하라고 했을 때, 상대방이 접속을 못 해본 경험이 있는가? 예시가 너무 전문적이었을까?그 원인은 대부분 '포트 포워딩'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늘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장치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 포트 포워딩에 대해 알아보자. 포트 포워딩이란?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네트워크 요청을 라우터(공유기)가 내부의 특정 장치(IP 주소)와 포트로 전달해 주는 기능이다. 흔히 가정용 라우터에서 설정하며, 외부 클라이언트가 공인 IP를 통해 내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포트 포워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Port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IP 주.. 2025. 5. 8.
동적 ARP 검사, DAI란? ARP 스푸핑을 막는 보안 기술 공공 와이파이나 회사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정보를 입력할 때, 누군가 내 통신을 몰래 엿보고 있다면 어떨까?이는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에서 종종 발생하는 보안 위협이다.특히 'ARP 스푸핑'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자주 악용되는 공격 방식 중 하나다.이런 공격을 막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동적 ARP 검사(DAI, Dynamic ARP Inspection)'이다.DAI가 무엇이며,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알아보자. 동적 ARP 검사(DAI, Dynamic ARP Inspection)란?동적 ARP 검사(DAI)는 스위치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기능으로, ARP 트래픽을 검사하여 위조된 ARP 메시지를 차단하는 기술이다. 주로 Cisco 스위치에서 제공되며, 네트워크 상의 ARP 패킷을 실시간으로 확인하.. 2025. 5. 7.
네트워크 통신의 숨은 연결 고리, ARP란? 길거리에서 누군가에게 집을 찾아가는 방법을 묻는다면, 우리는 보통 주소를 알려주거나 지도를 보여준다.그런데 만약 그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면, 정확히 집까지 안내할 수 있을까?인터넷 세계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진다.데이터를 전송하려 할 때, IP 주소는 알지만 그 실체(MAC 주소)를 모른다면 통신은 이뤄질 수 없다.이때 조용히 등장하는 해결사가 바로 'ARP'다.네트워크 통신의 보이지 않는 안내자,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어떤 동작을 하게 될까?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다. 쉽게 말해, IP 주소라는 집.. 2025. 5. 6.
인터넷의 교통정리 전문가, 라우터란 무엇인가?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과 컴퓨터로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그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지는 잘 모른다.(사실, 잘 알필요도 없다.)그 중심에는 '라우터'라는 장비가 있다. 마치 도로 위 신호등처럼 데이터가 어디로 가야 할지 방향을 정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라우터라고 볼 수 있다. 라우터란?라우터(Router)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다.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최적 경로를 계산해 전송하며,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핵심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라우터의 주요 기능라우터(Route)에는 원래의 목적보다 더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가정용에서는 보통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거나 보안 설정,패킷 전달: 송수신 패.. 2025. 5. 5.
좋은 글과 코드의 공통점, 가독성이란? 누군가의 글을 읽을 때, 혹은 다른 사람의 코드를 분석할 때 '이건 정말 읽기 좋다'라고 느껴본 적 있는가? 이런 느낌은 대체로 '가독성'이라는 요소에서 비롯된다.글이든 코드든, 읽는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구조와 표현은 핵심적인 장점이다. 이번 글에서는 '가독성'이라는 개념이 무엇이며, 왜 중요한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 가독성(Readability)이란?가독성(Readability)이란 문서나 텍스트, 코드 등을 읽을 때 이해하기 쉽고, 빠르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즉, 정보가 얼마나 잘 전달되느냐를 결정짓는 요소다. 이는 디자인, 구성, 언어 선택, 문장 길이, 문법, 들여 쓰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독성이라는 말은 책이나 인쇄물이 얼마나 쉽게 .. 2025. 5. 4.
ICMP란? 네트워크의 숨은 조력자 어느 날 갑자기 웹사이트 접속이 안 될 때, 우리는 종종 '핑(ping) 테스트'를 해보라고 조언받는다.이때 사용되는 기술이 바로 'ICMP'이다.네트워크 접속을 체크할 때, 서버 연결을 체크할 때, 초보 개발자나 초보 엔지니어들은, 정확한 의미도 모른 채 ping 체크를 하게 되고, 연결이 안 되면, 원인을 찾았다며(네트워크 문제네! 하면서) 좋아하고는 한다.평소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네트워크 진단과 통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ICMP에 대해 알아보자. ICMP란?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스위트의 핵심 구성 요소로, 네트워크 장비 간에 오류 메시지나 진단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로 전송 계층이 아닌 네트워크 계층에서 .. 2025. 5. 2.
DOS와 DDOS공격이란?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보안 위협 한때 인기 있던 온라인 게임 서버가 갑자기 접속 불가 상태에 빠지고, 수많은 유저들이 분노했던 사건이 있었다.알고 보니 그 원인은 바로 'DDOS 공격'이었다.유명한 커뮤니티 사이트나 자주 가던 웹사이트가 어느 날 터져서 접속이 불가능했던 적이 있을 것이다.접속자 수가 폭주할만한 이슈가 없었다면, 대부분은 DDOS 공격이 원인이었을 수 있다.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이버 위협, 오늘은 그중에서도 'DOS 공격(서비스 거부 공격)'과 그 진화형인 'DDOS 공격(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해 알아보자. DoS / DDoS 공격이란?DOS(Denial of Service)는 서비스를 거부한다는 뜻이다. DOS 공격은 특정 서버,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 자원에 과도한 트래픽이나 요청.. 2025.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