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용어103 알고리즘이란? 컴퓨터 사고의 핵심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많은 사람들이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처음 들으면 막연하고 어렵게 느낀다.하지만 알고리즘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개념이며, 컴퓨터 과학과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가 되는 핵심 요소이다.알고리즘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자. 알고리즘(Algorithm)이란?알고리즘(Algorithm)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절차나 방법을 의미한다.쉽게 말해, "문제를 풀기 위한 레시피"라고 생각하면 된다.예를 들어, 라면 끓이기 과정을 생각해보자.물을 끓인다.스프를 넣는다.면을 넣고 3분간 끓인다.불을 끄고 먹는다.이와 같이 순서대로 따라 하면 누구나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일련의 절차가 바로 알고리즘이다.(라면 끓이는 순서는, 레시피(.. 2025. 6. 5.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란? 여러 언어를 함께 쓰는 시대의 개발 전략 과거에는 하나의 프로젝트에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언어의 장점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폴리글랏 프로그래밍(Polyglot Programming)이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리스, AI, 데이터 분석 등 복잡한 요구가 많아진 오늘날, 폴리글랏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실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이 되고 있다.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의 개념, 장단점, 활용 사례, 주의사항 등을 알아보자.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란?폴리글랏(Polyglot)은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다.이 개념이 프로그래밍에 적용된 것이 바로 폴리글랏 프로그래밍이다.하나의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두 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 2025. 6. 4. GraalVM이란? 다양한 언어와 높은 성능을 모두 갖춘 실행 환경? 최근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에서 효율적인 실행 환경을 찾는 개발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런타임이 있다.바로 GraalVM이다. GraalVM은 단순한 가상 머신이 아니라, 여러 언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실행하고 성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 런타임이다.GraalVM의 개념, 특징, 활용 사례, 그리고 개발자에게 어떤 이점이 있는지 정리해보자. GraalVM이란?Graal은 프랑스어로 성배(Holy Grail)를 의미한다. 우리말로는 발음이 좀 어색할 수 있지만, '그랄'이라고 읽으면 된다.GraalVM 프로젝트는 Java의 성능 한계를 돌파하고, 다양한 언어를 하나의 통합된 플랫폼에서 실행하려는 야심찬 목표에서 출발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상적인 고성능 멀티 언어 런타임(실행환경)이라는 성.. 2025. 6. 3. pypy란? python으로 python을 만드는 프로젝트 Python은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언어지만, 실행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이 때문에 성능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C나 Java로 전환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하지만 꼭 그래야만 할까?파이썬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더 빠른 실행 속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그 해답 중 하나가 바로 PyPy이다.PyPy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그리고 실무에서의 활용 방안까지 알아보자. PyPy란?PyPy는 Python 언어의 대안 구현체로, 기존의 표준 구현인 CPython보다 빠른 실행 성능을 목표로 한다.PyPy는 JIT(Just-In-Time) 컴파일러를 내장하고 있어,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 때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팅이 아닌 기계어로 직접 컴파일하여 실행 속도를 높인다.. 2025. 6. 2. CAS(Code Access Security)란? .NET 보안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 이해하기 소프트웨어의 보안은 단순히 네트워크 차원에서 끝나지 않는다. 코드 자체의 실행 권한을 관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NET 프레임워크에서는 이런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으로 CAS(Code Access Security)가 있다.특히 기업 환경이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CAS의 이해와 활용이 필수적이다.CAS의 개념, 작동 방식, 구조, 실무 적용 방안까지 살펴보자. CAS란?CAS는 .NET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보안 메커니즘으로, 실행되는 코드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제어한다. 즉, 코드의 신뢰 수준에 따라 파일 접근, 레지스트리 수정, 네트워크 사용 등 다양한 권한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원을 기준으로 보안을 설정하는 전통적인 방식과는 달리, 코드 .. 2025. 6. 1.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란? 메모리 관리를 자동화하는 핵심 기술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메모리 관리에 대한 고민은 피할 수 없다.특히 동적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할 일이 많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나 메모리 누수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이런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 주는 기술이 바로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이하 GC)이다.가비지 컬렉션, 즉 GC의 개념, 작동 방식, 종류, 그리고 개발자가 알아야 할 실무 팁까지 살펴보자. 가비지 컬렉션이란?가비지 컬렉션은 프로그램 실행 중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메모리에서 해제해 주는 기술이다.C, C++처럼 메모리를 수동으로 관리하는 언어와 달리, Java, C#, Python 등은 GC(Garbage Collection)를 통해 .. 2025. 5. 31. 신뢰의 사슬(Chain of Trust)이란? 디지털 보안의 핵심 개념 정리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우리도 모르게 신뢰하고 있는 구조가 있다.바로 "신뢰의 사슬(Chain of Trust)"이라는 개념이다.이 개념은 디지털 인증과 보안의 근간을 이루는 메커니즘으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안전한 연결을 보장해 준다.신뢰의 사슬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를 살펴보자. 신뢰의 사슬이란?신뢰의 사슬(Chain of Trust)은 보안 인증서 체계에서 상호 인증을 통해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한다.이 체계는 최상위에 있는 루트 인증기관(Root CA)부터 중간 인증기관(Intermediate CA), 마지막으로 최종 사용자 인증서(End-Entity Certificate)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조는 마치 고리처럼 서로 연결되어.. 2025. 5. 30. CLR이란? .NET 개발자의 필수 개념 정리 프로그래밍을 막 시작한 개발자들이 .NET을 접하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LR"이다. 처음에는 이름도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CLR은 .NET 프레임워크의 핵심 엔진이라 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CLR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개발자가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CLR(Common Language Runtime) 이란?CLR(Common Language Runtime)은 마이크로소프트의 .NET 프레임워크에서 핵심적인 실행 엔진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쉽게 말해, .NET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한 가상 머신 역할을 수행한다. 자바의 JVM(Java Virtual Machine)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다. 개발자가 C#, VB.N.. 2025. 5. 29. 동시에 일어나지 않아도 괜찮다?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 이해하기 “잠깐만, 이것 끝나고 다음 작업 할게.” 이 말은 동기적 사고방식이다.반면, “그거 처리되는 동안 나는 다른 거 하고 있을게.”라는 말은 비동기적 접근이다.이런 사고방식은 사람 사이뿐 아니라, 컴퓨터 세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많은 IT 문서와 개발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의 개념을 실생활 비유와 함께 알아보자. 동기(Synchronous) 방식이란?동기(Synchronous)란 어떤 작업이 순차적으로, 하나가 끝나야 다음이 진행되는 방식을 말한다. 프로그램에서 동기 방식은 함수 호출 후 결과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예: 웹 서버가 사용자 요청을 처리할 때, 해당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다른 요청을 처리.. 2025. 5. 28. 시스템 간 대화를 돕는 언어, IDL이란?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되었더라도, 서로 통신하고 협업해야 할 일이 많다.이때 어떤 기준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오해가 생기기 마련이다.이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이다.서로 다른 시스템이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IDL에 대해 알아보자.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이란?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은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메서드, 데이터 구조 등)의 형식을 중립적인 언어로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다. 이를 통해 한쪽 시스템은 다른 쪽 시스템의 기.. 2025. 5. 27. HTTPS를 강제하는 보안 기술, HSTS란? HTTPS가 기본이 된 시대지만, 아직도 사용자가 실수로 http://로 접속하거나, 중간자 공격자가 HTTPS로의 전환을 가로채는 사례는 여전히 존재한다.이런 보안 허점을 막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 바로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다.웹사이트의 HTTPS 연결을 더욱 강력하게 만드는 HSTS의 원리와 필요성, 적용 방법까지 쉽게 알아보자.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란?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 브라우저에게 특정 도메인에 대해 무조건 HTTPS 연결만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보안 정책이다. 이 정책은 웹 서버가 HTTP 응답 헤더를 통해 전달하며, 브라우저는 이를 기억하여 다음 접속 시 자.. 2025. 5. 26. 하나의 채널로 여러 신호를? 멀티플렉싱이란 인터넷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배경에는 여러 기술이 존재한다.그중 하나가 바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다.이 기술 덕분에 하나의 통신 채널로 여러 데이터가 동시에 전달될 수 있으며, 통신망의 효율과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네트워크뿐 아니라 방송,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멀티플렉싱의 개념과 원리를 알아보자.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란?멀티플렉싱(Multiplexing)은 하나의 통신 채널에서 여러 개의 신호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각 데이터를 구분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한 경로로 보낸 뒤, 수신 측에서는 다시 원래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통신 효율을 높인다. 이 과정은 송신 측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 2025. 5. 25.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