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100 CLR이란? .NET 개발자의 필수 개념 정리 프로그래밍을 막 시작한 개발자들이 .NET을 접하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CLR"이다. 처음에는 이름도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CLR은 .NET 프레임워크의 핵심 엔진이라 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이다. CLR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개발자가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CLR(Common Language Runtime) 이란?CLR(Common Language Runtime)은 마이크로소프트의 .NET 프레임워크에서 핵심적인 실행 엔진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 쉽게 말해, .NET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한 가상 머신 역할을 수행한다. 자바의 JVM(Java Virtual Machine)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다. 개발자가 C#, VB.N.. 2025. 5. 29. 동시에 일어나지 않아도 괜찮다?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 이해하기 “잠깐만, 이것 끝나고 다음 작업 할게.” 이 말은 동기적 사고방식이다.반면, “그거 처리되는 동안 나는 다른 거 하고 있을게.”라는 말은 비동기적 접근이다.이런 사고방식은 사람 사이뿐 아니라, 컴퓨터 세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많은 IT 문서와 개발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의 개념을 실생활 비유와 함께 알아보자. 동기(Synchronous) 방식이란?동기(Synchronous)란 어떤 작업이 순차적으로, 하나가 끝나야 다음이 진행되는 방식을 말한다. 프로그램에서 동기 방식은 함수 호출 후 결과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예: 웹 서버가 사용자 요청을 처리할 때, 해당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다른 요청을 처리.. 2025. 5. 28. 시스템 간 대화를 돕는 언어, IDL이란?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언어로 작성되었더라도, 서로 통신하고 협업해야 할 일이 많다.이때 어떤 기준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오해가 생기기 마련이다.이를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이다.서로 다른 시스템이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IDL에 대해 알아보자.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이란?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은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메서드, 데이터 구조 등)의 형식을 중립적인 언어로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다. 이를 통해 한쪽 시스템은 다른 쪽 시스템의 기.. 2025. 5. 27. HTTPS를 강제하는 보안 기술, HSTS란? HTTPS가 기본이 된 시대지만, 아직도 사용자가 실수로 http://로 접속하거나, 중간자 공격자가 HTTPS로의 전환을 가로채는 사례는 여전히 존재한다.이런 보안 허점을 막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 바로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다.웹사이트의 HTTPS 연결을 더욱 강력하게 만드는 HSTS의 원리와 필요성, 적용 방법까지 쉽게 알아보자.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란?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는 웹 브라우저에게 특정 도메인에 대해 무조건 HTTPS 연결만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보안 정책이다. 이 정책은 웹 서버가 HTTP 응답 헤더를 통해 전달하며, 브라우저는 이를 기억하여 다음 접속 시 자.. 2025. 5. 26. 하나의 채널로 여러 신호를? 멀티플렉싱이란 인터넷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배경에는 여러 기술이 존재한다.그중 하나가 바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다.이 기술 덕분에 하나의 통신 채널로 여러 데이터가 동시에 전달될 수 있으며, 통신망의 효율과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네트워크뿐 아니라 방송,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멀티플렉싱의 개념과 원리를 알아보자.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이란?멀티플렉싱(Multiplexing)은 하나의 통신 채널에서 여러 개의 신호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각 데이터를 구분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한 경로로 보낸 뒤, 수신 측에서는 다시 원래 데이터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통신 효율을 높인다. 이 과정은 송신 측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 2025. 5. 25. 읽기 쉬운 데이터 포맷, YAML이란? YAML은 원래 "Yet Another Markup Language(또 하나의 마크업 언어)"라는 이름에서 시작되었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YAML의 설계 목적이 데이터 표현에 더 집중되었고, XML 같은 마크업 언어와는 방향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름이 "YAML Ain’t Markup Language(마크업 언어가 아니다)"로 바뀌었다.이 재미있는 네이밍은 YAML이 단순히 데이터를 꾸미는(markup) 것이 아니라,사람이 읽고 쓰기 쉬운 방식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YAML 이란?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설정 파일을 작성할 일이 많다. 그럴 때 자주 보게 되는 것이 .yaml 혹은 .yml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다.언뜻 보면 그냥 들여 쓰기 된.. 2025. 5. 24. SSL Strip이란? HTTPS를 HTTP로 바꾸는 공격이 있다고? 보안이 중요한 시대,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HTTPS(암호화된 연결)를 사용한다.하지만 사용자가 HTTPS로 접속했는지 확실히 확인하지 않는다면, 해커는 이를 악용할 수 있다.실제로 중간자 공격(MITM)의 한 형태로 사용되는 'SSL Strip'은 안전하다고 믿는 연결을 눈치채지 못하게 HTTP로 바꿔치기한다.SSL Strip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SSL Strip이란? SSL Strip은 공격자가 사용자의 HTTPS 요청을 가로채고, 이를 HTTP로 다운그레이드시켜 암호화되지 않은 채로 정보를 주고받게 만드는 공격 기법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평소와 똑같은 사이트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격자의 프록시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 것이다. SS.. 2025. 5. 23. 크로스 플랫폼이란? 하나의 코드로 여러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고? Windows에서는 잘 실행되던 앱이 Mac이나 Android에선 동작하지 않는 경험을 해본 적 있는가?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이다.최근 모바일 앱, 게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 기술 개념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아보자. 크로스 플랫폼이란?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은 말 그대로 다양한 플랫폼이 교차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코드 베이스(코드 기반)로 여러 운영체제나 환경에서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만든 소프트웨어나 개발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번 작성한 앱을 Windows, macOS, Linux, Android, iO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 2025. 5. 22. 당신의 로그인 상태가 노출된다면?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이란 로그인한 웹사이트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다른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보인다면?혹은 내 계정으로 이상한 활동이 기록된다면?이는 단순한 시스템 오류가 아니라, 해커가 당신의 세션을 탈취했기 때문일 수 있다.이처럼 웹 보안에서 치명적인 공격 방식 중 하나가 바로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ng)'이다. 그 개념부터 원리, 예방 방법까지 쉽게 이해해 보자.세션(Session) 이란?세션 하이제킹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션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야 한다.세션은 사용자가 로그인한 이후, 로그아웃하기 전까지의 연결 상태를 말한다.서버는 이 세션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고유한 세션 ID를 부여해 사용자를 식별한다. 세션 하이재킹(Session Hijacki.. 2025. 5. 21. 토큰이란? IT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토큰 용어 알아보기 ‘토큰’이라고 하면 놀이공원에서 사용하는 동전이나, 블록체인에서 쓰이는 암호화폐가 떠오를 수 있다.하지만 IT 분야에서 '토큰(token)'이라는 용어는 이보다 훨씬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아마 대부분 사람들은 Web에서 인증에서 사용하는 토큰만을 설명하겠다고 예상했을 수 있다.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분야에서 토큰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소프트웨어, 보안, 인증, 프로그래밍 언어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토큰’의 개념을 알아보자. 토큰(Token)이란?실제 토큰(token)은, '징표', '형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여 상품권이나 서비스의 교환권을 뜻하는 영어단어이다.IT에서 '토큰'은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단위’ 또는 ‘식별자’라고 이해하면 된다.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형태와 기능은 달라지지만,.. 2025. 5. 20.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프로그램은 어떻게 실행될까?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 생각해 본 적 있는가?코드가 단순히 마법처럼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해 주는 '중간자'가 필요하다.이 역할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두 가지 방식이 바로 '컴파일러(Compiler)'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 그리고 어떤 언어들이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 쉽게 설명해 보자. 컴파일러(Compiler)란?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한 번에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즉, 소스 코드를 입력받아 한 번에 실행 파일(.exe 등)로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이 파일은 나중에 컴파일 없이도 바로 실행 가능하다.장점: 빠른 실행 속도, 배포 용이단점: 디버깅이 어렵고.. 2025. 5. 19. JVM이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핵심 동작 원리 자바는 "한 번만 작성하면 어디서든 실행된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이 말의 중심에는 바로 'JVM(Java Virtual Machine)'이라는 기술이 있다.JVM은 자바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장비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핵심 요소다.JVM의 개념과 역할을 쉽게 살펴보자. JVM(Java Virtual Machine)이란?JVM(Java Virtual Machine, 자바 가상 머신)은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가상의 컴퓨터다.자바 소스 파일은 먼저 컴파일되어 바이트코드(.class 파일)로 변환되며, 이 바이트코드를 실제로 실행하는 것이 바로 JVM이다.다시 말해, JVM은 운영체제와 자바 프로그램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플랫폼 독립성을 제공한다.더 풀어서 이야기해 보면,.. 2025. 5. 18.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반응형